•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계에서의 상제(上帝)와 이도설(理到說)에 관하여 (A Study on ‘the Ido-seol(理到說)’ and ‘the Lord on High(上帝)’ in Toegye's Philosoph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7.12
28P 미리보기
퇴계에서의 상제(上帝)와 이도설(理到說)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21호 / 155 ~ 182페이지
    · 저자명 : 황상희

    초록

    조선에서 종교(宗敎)란 단어는 쓰이지 않았다. 종교라는 단어는 일제 강점기에 만들어 졌으며, 유교는 종교에서 제외된 유사종교의 영역으로 배제되어 미신의 영역, 혹은 학문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 이 글은 만일 조선에 일제 강점기의 굴곡이 없이 현재까지 자연스럽게 전해져왔다면 유교를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라는 의문으로 시작한다. ‘퇴계의 상제와 이도설(理到說)’이라는 주제를 통해서 퇴계사상 안의 종교성을 살펴보려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조선은 고대로부터 최고의 조상신인 상제에 제사를 지내왔으며, 퇴계의 저술에서도 상제를 언급한 부분을 쉽게 볼 수 있다. 『성학십도』에서 「태극도」의 세계관은 우주적 가족공동체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족이란 태극을 경험하는 성스러운 장소이며, 오륜은 그 공동체를 유지하는 성스러운 질서이다. 퇴계는 고봉과 8년간의 사단칠정논변의 결론으로 『성학십도』의 「심통성정도」에서 중도(中圖)와 하도(下圖)를 구분하여 하도의 사단(四端)은 ‘이발(理發)’이라고 하고 칠정(七情)은 ‘기발(氣發)’이라 하였다. 하도는 대상이 나에 닿아 있는 상태의 의식에서 사단이라는 성스러운 의식을 따로 구분하였다. 나라는 장소에서 누구나 알 수 있는 의식으로 일반 의식과 구별하여 위상학적 위치를 달리하였다.
    격물(格物)에서 물(物)은 대상적 사물이 아니라 처사접물(處事接物)의 물로 오륜 안에서 만나고 일어나는 대상과 일을 말한다. 격물(格物)에서 도출된 이도설(理到說)은 이(理)의 본체와 나의 理가 만나는 일이며, 나의 정성이 있는 곳에 신이 이른다는 신앙이다. 격물(格物)이 행위까지 동반한 극기(克己)의 과정이라면 격물(物格)의 이자도(理自到)는 거기에 응답하는 어떠한 현상일 것이다. 이를테면 선불교에서 명상을 할 때 화두를 내가 잡는 내용이 있는 명상의 방식이 아니라 극기의 계속된 상황에서 어느 순간 화두가 나를 끌고 가는 내용을 죽인 형식이라 말할 수 있겠다. 사단을 위해 극기의 집중을 오래하다 보면 그 사단이 저절로 움직여서 내게 이르러 나를 끌고 간다는 말이고, 다른 표현으로는 克己라는 긴 시간의 집중을 통해 나 스스로가 비워진 빈방에 밝은 빛이 생기는 경지[虛室生白]라는 말일 것이다.

    영어초록

    In Joseon, the term of ‘religion(宗敎)’ was not used. The term of religion was coin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Confucianism was excluded from religion to pseudo religion and included into the area of superstition or study. This piece of writing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we could have introduced Confucianism if it had not been for the colonial era. This thesis aims at revealing religiosity in Toegye’s thoughts through the subject of ‘Toegye’s Sangje(上帝) and Li(理)’ and examining spontaneous religiosity. Since the ancient times including Joseon, ancestral rites for the highest ancestor god, Sangje, had been held, which can be also verified through the writings of Mokeun and Sambong. Mentions about Sangje are also easily found in Toegye’s writings. In 『Seonghaksipdo』, the world view of 「Taegeukdo」 is found to pursue a cosmic family community. A family is a sacred place to experience Taegeuk, and Ohryun is a holy order to maintain the community. As the conclusion of the discussion over Sadan and Chiljeong with Gobong for 8 years, Toegye distinguished Jungdo(中圖) from Hado(下圖) in 「Simtongseongjeongdo」 of 『Seonghaksipdo』, and said Sadan(四端) of Hado was ‘Libal(理發)’, and Chiljeong(七情) was ‘Gibal(氣發)’. Regarding Hado, in the sense of the condition that an object is connected to oneself, the sacred sense of Sadan was separated. It’s a sense that anyone can see in the place of oneself, and it was separated from a general sense, so its topological position became different. As for Gyeokmul(格物), Mul(物) doesn’t mean a thing as an object, but refers to the objects and matters that meet and happen in Oryun(五倫) as Mul of Cheosajeopmul(處事接物). Lidoseol(理到說) deducted from Gyeokmul is that the main body of Li(理) meets one’s Li(理), and it’s the faith that god comes to the place where one’s true heart stays. While Gyeokmul is the process of Geukgi(克己) accompanying actions, Lijado(理自到) of Gyeokmul can be said to be a certain phenomenon to respond to it. So to speak, when one meditates in Zen Buddhism, the meditation way is not the one with contents whose topic one chooses, but the one without topics that Geukgi continues and at some moment, a topic leads one. It can be also expressed as that when one concentrates with Geukgi for a long time for Sadan, that Sadan moves by itself, gets to one and leads one. In other words, it is the stage that bright light appears in an empty room without oneself through concentration of Geukgi for a long time(Heosilsaengbaek,虛室生白).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