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春官通考』 소재 文廟祭禮 佾舞圖의 史料的 가치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Value of Munmyojerye 文廟祭禮 Ilmudo 佾舞圖 Recorded in Chun-gwan-tong-go 春官通考)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07.12
20P 미리보기
『春官通考』 소재 文廟祭禮 佾舞圖의 史料的 가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42권 / 4호 / 219 ~ 238페이지
    · 저자명 : 이숙희

    초록

    이 논문은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의 유래와 내용의 정확성을 중심으로 사료적 가치를 살펴 문묘제례 일무의 올바른 전승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는 『반궁예악서』 소재 일무도와 동일함에도 당시에 행했던 것이라는 뜻의 ‘今儀’라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가 『반궁예악서』의 일무도를 그대로 모사하여 수록한 것인지, 아니면 당시 조선에서 행했던 일무 제도를 기록해 놓은 것인지를 밝혀야 이 일무도의 사료적 가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의 사료적 가치는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가 당시의 것을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와 우리나라에 전승되어온 일무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있는지 여부에 있다.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의 유래, 악장, 춤의 종류, 의물, 복식, 일무를 추는 제례 절차를 중심으로 사료적 가치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에 기록된 춤의 종류, 악장, 의물, 복식에 관한 내용은 『춘관통고』 본문에 기록된 것과 서로 다르다. 『춘관통고』 본문의 일무의 종류와 의물․복식 등과 관련된 내용은 조선전기의 기록 및 현재 전승되는 것과 일치하고, 악장의 변화된 내용과 역사적 사실이 분명히 기록되어 있다. 이와같이 『춘관통고』 본문의 내용이 당시 일무 제도를 반영하고 있는 반면 일무도는 이와 일치하지 않는 모순을 안고 있다. 즉 『춘관통고』는 문묘제례 일무와 관련한 기록에 있어서 내재적으로 모순을 지니며, 일무도의 내용은 당시 일무 제도와 관련 없다.
    둘째, 문묘제례 일무와 관련하여 『춘관통고』 본문에 기록이 없거나 부족한 춤의 종류, 악장, 일무를 추는 제례 절차 등을 『국조오례의』와 『악학궤범』의 기록 및 현행 제도와 비교해 본 결과 일무도에 기록된 내용과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즉 『춘관통고』 외 관련 기록과 비교해 보았을 때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의 기록을 『춘관통고』 당시 일무 제도로 보기 어렵다.
    이상과 같이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는 『춘관통고』 내의 관련 기록 및 『춘관통고』 외 관련 문헌의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 반면 『반궁예악서』 소재 일무도와 일치한다. 즉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에 ‘今儀’라는 기록이 있지만, 이것은 당시의 제도를 기록해 놓은 것이 아니라 『반궁예악서』의 일무도를 그대로 모사해 놓은 것이며, 사료로서 가치를 인정하기 어렵다.
    『춘관통고』는 정조 당시의 국가의식과 관련된 상징물의 변화를 상당부분 담아내고 있지만 완전하지 않다. 『춘관통고』에 당시 일무 제도와 다른 『반궁예악서』의 일무도를 모사하여 수록하고 ‘금의’라고 기록해 놓은 것도 『춘관통고』의 문헌적 불완전성의 한 맥락으로 보인다. 『춘관통고』가 조선후기 전례 연구에 주요 참고 자료이기는 하지만,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는 당시의 문묘제례 일무와 관련없는 까닭에 사료적 가치를 인정하기 어려우며, 이것을 수용함에 있어서 신중함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value of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with a focus on the history of ilmudo and its exactness, and to present the right direction in succeeding to the Munmyojerye ilmudo. Although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was the same with the ilmudo recorded in “Ban-gung-ye-ak-seo”, it has a mark of “geum-eui”今儀, which implies it was conducted at that time. Accordingly, it is essential to examine whether it is a reproduction that copied out the ilmudo recorded in “Ban-gung-ye-ak-seo”, otherwise, whether it is a record that recorded the ilmu system which was performed during that time of Joseon dynasty in order to determine its historical value.
    The historical value of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depends on whether it reflects what was in the past, and whether it exactly recorded the ilmu which has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Korea. This paper examines its historical value with a focus on its origin, movements, dancing types, ritual items, costume, and the ritual procedure of dancing ilmu. The results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s: First, the descriptions of dancing types, movements, ritual items, and costume recorded in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are different from those recorded in the body of “Chun-gwan-tong-go”. Those recorded in the body of “Chun-gwan-tong-go” are identical to records in the early Joseon and what has transmitted to date, and the body of “Chun-gwan-tong-go” definitely contains varied movements and historical facts. As seen, the contents in the body of “Chun-gwan-tong-go” reflect the ilmu system at that time, but not ilmudo, which shows some inconsistency. In other words, “Chun-gwan-tong-go” is inconsistent in the records concerning Munmyojerye ilmu, and ilmudo is not related to the ilmu system at that time.
    Second, with regard to Munmyojerye ilmu, as a result of comparing dancing types, which are absent or insufficient in the body of “Chun-gwan-tong-go”, movements, ritual procedure of dancing ilmu with the records in “Gukjo-orye-eui” and “Akkak-gwebeom” and the current system, they a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descriptions recorded in the ilmudo. In other words, when examining related records other than “Chun-gwan-tong-go”, it is not considered that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is regarded as the ilmu system at that time when “Chun-gwan-tong-go” was written.
    As shown above,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is inconsistent with the related records in “Chun-gwan-tong-go” and other related records other than “Chun-gwan-tong-go”. However, it is consistent with that recorded in “Bangung-ye-ak-seo”. More specifically, although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contains the word “geum-eui”今儀, it is a reproduction of the ilmudo in “Bangung-ye-ak-seo”, not the descriptions of the system at that time. Accordingly, it is not available to recognize its historical value.
    Although “Chun-gwan-tong-go” covers changes in symbolic items related to national rituals at the reign of King Jeongjo, it is incomplete. The fact that “Chun-gwan-tong-go” reproduced and recorded the ilmudo from “Bangung-ye-ak-seo”,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then ilmu system and represented “geum-eui”今儀 may show the incomplete context of “Chun-gwan-tong-go” as literature. Although “Chun-gwan-tong-go” is an important material in studying ri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not available to recognize its historical value concerning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because it is not associated with the Munmyojerye ilmudo at that time. Accordingly, prudent attention is required before accepting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