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 중국의 異域담론의 시각적 재현 ― <萬國職貢圖>에 나타난 이역상상 (Visual Representation of Foreign Discourse in Ancient China— Foreign Imagination of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1.03
32P 미리보기
고대 중국의 異域담론의 시각적 재현 ― &lt;萬國職貢圖&gt;에 나타난 이역상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어문학지 / 74호 / 33 ~ 64페이지
    · 저자명 : 송정화

    초록

    본고에서는 명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만국직공도>를 대상으로 고대 중국의 중화주의와 화이관적인 사고가 그림 텍스트 안에서 어떻게 재현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만국직공도>의 작자와 성립시기를 논의하였다. <만국직공도>는 본래 송대 이공린의 작품으로 알려져 왔지만 최근에는 명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학계의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만국직공도>의 제작시기를 명대로 추정하였다.
    3장에서는 도문조합의 <만국직공도>의 구성 중 제기의 내용을 기타 역사지리류 문헌자료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만국직공도> 고유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만국직공도>는 기존의 역사지리류 서적들을 참고했을 뿐 아니라 나아가 직공도 특유의 형식에 맞춰 상상의 이역을 실재하는 조공국으로 묘사하고 있었다. 여기에는 조공무역의 성행과 외국에 대한 관심, 역사지리류 문헌과 <산해경도> 등의 그림 제작의 활성화 등의 사회, 문화적인 배경이 있었다.
    4장에서는 <만국직공도>가 이역을 그림 안에서 구성하는 방식을 정형화와 희화화로 특징지어 고찰하였다. <만국직공도>는 직공도 특유의 인물과 공간구성 방식을 지니고 있었고, 대상에 대해 동물성과 해학성을 부여함으로써 화이관적 시각을 그림 텍스트 안에서 재현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studied how Sinocentrism (中華主義) and Huayi view(華夷觀) were reproduced in the picture text, focusing on <Wanguozhigongtu>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during the Ming Dynasty. Chapter 2 discussed the period of establishment with the author of <Wanguozhigongtu>. <Wanguozhigongtu> was originally known to have been painted by Lee Gong-rin (李公麟) of the Song Dynasty, but it is recently argued that it was produced during the Ming Dynasty. This high school comprehensively considered existing academic studies, and estimated the production period as named. In this paper, the period of production of <Wanguozhigongtu> was estimated in the Ming Dynasty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existing academic studies.
    Chapter 3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Wanguozhigongtu>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description section of <Wanguozhigongtu>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paintings and writings with historical materials. As a result, <Wanguozhigongtu> not only referred to existing historical books, but also described the imaginary translation as a tribute country in accordance with the form of the <Zhigongtu (職貢圖)>. And the background of these results was the active production of paintings such as the prosperity of the tribute trade during the Ming Dynasty, interest in foreign countries, historical literature and <Shanhaijingtu (山海經圖)>.
    In Chapter 4, the unique way in which <Wanguozhigongtu> composes foreign countries in paintings was divided into two types: formal and comic. <Wanguozhigongtu> had its own way of constructing characters and spaces, and reproduced the Huayi view in the picture text by giving it animalism and humor when describing the o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어문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