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DP 생성 메커니즘을 통한 ‘X’의 고찰— ‘向/往/到+X’구를 중심으로 (A Research Regarding ‘X’ via DP Generation Mechanism in ‘向/往/到+X’)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04
36P 미리보기
DP 생성 메커니즘을 통한 ‘X’의 고찰— ‘向/往/到+X’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언어연구 / 93호 / 273 ~ 308페이지
    · 저자명 : 이정인

    초록

    본고는 ‘向/往/到+X’구를 갖는 방향표지구문을 중심으로 ‘X’를 [-V]와 [+V] 자질로 구분한 후, 두 자질이 DP로 생성되는 메커니즘을 생성문법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우선 [-V]와 [+V] 자질의 DP 도출을 위해 ‘的’와 관련된 구(Phrase)를 다음과 같은 표찰로 구분하였다. 지시성(指稱性)을 갖는 DP, 수식어 기능의 DeP, AP 또는 VP의 성질 및 동작 자체를 명사화 시키는 NominalP이다.
    ‘X’가 [-V]와 [+V]인 자질의 DP 생성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첫째, ‘向/往/到+X’의 [-V]와 [+V]의 범주 자질을 분석 하였다. ‘向+X’구의 전후치 [-V]는 92.5%와 93.5%이고 전후치 [+V]는 7.5%와 6.5%이다. ‘往+X’구의 전후치 [-V]는 84.5%와 100%이고 전후치 [+V]는 15.5%와 0%이다. ‘到+X’구의 전후치 [-V]는 99.5%와 89.5%이고 전후치 [+V]는 0.5%와 10.5%이다.
    둘째, ‘X’의 [-V]자질에서 명시적 지시(指稱)의 DP는 인칭대명사, 일부 시간사, 지시대사(부정대사 포함), ‘지시성 한정사+的+명사’가 해당된다. 이들은 어휘부에서 DP 중심어 D에 해당 한정사를 직접 배번 받아 투사된다. 비명시적 지시(指稱)의 DP는 고유명사, 보통명사, ‘수사+양사+명사’, ‘一’구조체가 해당된다. 이 중 고유명사, 보통명사는 N에서 D까지 중심어위치이동에 의해 최대투사 된다. ‘수사+양사+명사’, ‘一’구조체는 중심어위치이동제약에 의해 D로 이동되지 못하고, Null Determiner에 의해 DP로 도출된다.
    셋째, ‘X’의 [+V]자질은 비명시적 지시(指稱)의 DP를 전제로 한다. AP, VP는 NominalP를 이루고 Nominal에서 D까지 중심어위치이동하여 도출된다. AP/VP, AP/VP+(了/裏/處), VdP, CP는 생략된 N을 수식하는 DeP이다. 이 도출은 DeP가 NP 내 Spec에 위치하므로 중심어위치이동을 할 수도 없고, N의 이동시 표층구조와 모순이 되므로 Null Determiner에 의해 DP로 도출된다.
    본고는 지금까지 분석된 결과가 중국어 학습자들이 생성문법관점에서의 통사적 계층구조를 다소나마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교육적 측면에 참신한 접근이 되길 바란다. 또한 앞으로 DP에 대하여 더욱 전면적이면서 심층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도와 분석을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DP generation mechanism regarding ‘X’ from a generative grammar point of view, after categorial features of ‘X’ in structures which consist of ‘direction(向/往/到)+X’ were classified into [-V] and [+V].
    First, phrases related with ‘De(的)’ has been separated into three types as the DP(Determiner Phrase) with referentiality, the DeP(‘的’-particle Phrase) with modifier function, the NominalP(Nominalization Phrase) to nominalize properties of verbs or adjectives for the DP derivation of [±V].
    As for conclusions analyzed, it suggests the results summary in order of the categorial features of ‘X’, the derivation of a DP in [-V] and the derivation of a DP in [+V] below.
    The categorial features of ‘X’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figure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according to being placed before(B) and after(A) the predicate within structure in order of ‘向+X’, ‘往+X’ and ‘到+X’. In case of ‘向+X’, 92.5%(B) and 93.5%(A) in [-V], 7.5%(B) and 6.5%(A) in [+V] ; in case of ‘往+X’, 84.5%(B) and 100%(A) in [-V], 15.5%(B) and 0%(A) in [+V] ; in case of ‘到+X’, 99.5%(B) and 89.5%(A) in [-V], 0.5%(B) and 10.5%(A) in [+V].
    The derivation of a DP in [-V] is summarized as follows. One is that the explicit referential DP includes personal pronoun, only a few of time unit words, a demonstrative pronoun, ‘referential determiner +‘De(的)’+noun’ and so on. They are directly assigned to a ‘D(head)’ from the lexicon and then projected onto the DP. The other is that the implicit referential DP includes bare nouns(proper and common nouns), ‘NumP+ClP+NP’ and phrases by ‘yi(一)’. Bare nouns are projected onto the DP by the head movement principle from a N to a D. The rest can be projected onto the DP by a null determiner because of the head movement constraint.
    The derivation of a DP in [+V]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maximal projection of [+V] can be regarded as the implicit referential DP. NominalP to nominalize properties of verbs or adjectives is projected onto the DP by head movement from a Nominal to a D. AP/VP, AP/VP+(了/裏/處), VdP and CP are constituents to be projected as DeP which modifies null(empty) nouns phonologically. The derivation of a DP related with them is derived by a null determiner. Because the DeP is located in a specifier of a NP, it can not be raised to a D by head movement principle. Furthermore, the movement of a N causes contradiction between surface structures and deep structures.
    This studied with regard to the DP generation mechanism regarding ‘X’ and then showed only some opinions, this will be willing to do its best to make a progress of a better research continuous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언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