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後期 王室 八高祖圖의 성립과정 (The Forming Process of the Royal Pedigree Pal-gojo-do (八高祖圖) in Late Joseon Dynast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7.06
23P 미리보기
朝鮮後期 王室 八高祖圖의 성립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17호 / 73 ~ 95페이지
    · 저자명 : 김일환

    초록

    조선 왕실은 국초부터 왕실의 혈연관계를 밝히고 왕실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왕실족보를 다양하게 만들어왔다. 그 가운데 八高祖圖는 매우 독특한 특징을 가진 족보이다. 다른 족보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시간적 흐름에 따라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면서 작성되는데 반해 팔고조도는 나를 기점으로 출발하여 위로 나의 조상을 찾아 올라가 부모, 부모의 부모, 조부모의 부모, 증조부의 부모까지 內外 4代를 대상으로 트리형태로 작성한 족보이다. 팔고조도는 고려말, 조선초에 이미 그 원형이 나타나고 국왕뿐 아니라 왕비의 경우도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왕실 팔고조도는 왕의 계보를 간단하게 도표로 그려 시각적으로 보여준다는 의미가 컸다. 따라서 왕실 팔고조도는 처음에 왕실의 근원을 밝히는 단순한 族圖로부터 출발하였지만 왕실족보에 있어 중요성을 띠는 것은 조선후기 특히 숙종과 영조 때였다. 그 계기는 왕실의 방계자손들이 왕위를 계승하는 사례가 빈번하면서 팔고조도는 宗統을 설명하는 근거로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팔고조도는 조선조 멸망 후 이왕직 시기까지도 계속하여 작성되었다.왕실 보첩 중에 八高祖圖의 중요성을 크게 부각시킨 국왕은 영조였다. 영조는 일생동안 수차례에 걸쳐 팔고조도 작성과 수정에 심혈을 기울여 팔고조도를 왕실의 족보에서 중요한 위치에 자리 잡도록 만들었다. 영조가 팔고조도를 주목한 것은 후궁의 소생으로 한미한 외가를 가진 약점을 보완하기 위함이었다. 이런 까닭에 지속적으로 생모인 숙빈 최씨를 추숭하여 높이는 한편 외가의 선조들을 追贈하여 가문의 격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따라서 위 사항이 나타날 때마다 팔고조도를 수정하여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던 것이다. 그 연장선에서 정조대에 이르러 국왕은 “圖譜는 하나이고 둘이 아니다”라는 원칙을 제시하며 八高祖圖를 선원계보기략의 世系篇과 子孫譜 사이에 넣어 선원계보기략의 한 항목으로 공식화하고 선원계보기략을 편찬할 때 첨부하여 일반이 열람 가능하도록 公刊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팔고조도가 고종대에 오면 크게 변한다. 그것은 숫적으로 팔고조도가 크게 증가한 것이다. 영조대 작성된 팔고조도에서 2장짜리 팔고조도를 가진 임금이 선조, 경종, 영조이었던 것에 비하여 고종시기에 오면 2장의 팔고조도를 가진 국왕들이 숫자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순조대왕은 무려 4개의 팔고조도를 가지게 된다. 이것은 조선말기로 가면 방계 혈족들이 왕위를 계승한 사례가 늘어난 결과인데, 종법질서가 문란해지고 崩潰되어 감을 팔고조도의 변화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Pal-gojo-do(八高祖圖), a pedigree of the Joseon Royal Household, showed royal genealogy visually by a simple diagram. It was made in the form of a tree for four internal and external generations respectively by tracing back to my ancestors after starting from me. It became important in late Joseon Dynasty, especially, from the times of Sukjong and Youngjo, for it functioned as the grounds for explaining the lineage of the firstborn son in the main family as the collateral offsprings in the household frequently succeeded to the throne.
    Youngjo devoted himself to making and correcting it several times, for he aimed at making up for the weakness that he had the poor family of his mother's side as the child of a royal concubine. He conferred the title of king on his real mother called Suk-bin whose family name was Choi, and reinforced his own political location by correcting the diagram through upgrading his family by honoring posthumously the forefathers of the family.
    The diagram quantitatively increased in the generation of Gojong. It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 collateral ki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ncreasingly succeeded to the throne. The change in the diagram enables me to confirm the phenomenon that the collateral royal household brought forward as king on a large scale at the end disturbed and destroyed the order of family ru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