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현화의 희곡 <카덴자>와 <오스트라키스모스>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성 (A Study of Heterotopic spatiality presented in Lee Hyun-hwa’s Plays- and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3.03
30P 미리보기
이현화의 희곡 &lt;카덴자&gt;와 &lt;오스트라키스모스&gt;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42권 / 1호 / 171 ~ 200페이지
    · 저자명 : 홍은재

    초록

    본 연구는 이현화의 희곡 <카덴자>(1978)와 <오스트라키스모스>(1979)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두 작품에 나타난 극적 공간을 양립 불가능한 여러 공간을 실제의 한 장소에 겹쳐놓는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으로 상정하고, 연극 공간과 사건 장소에 주목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연극 미학적 관점에서 <카덴자>의 경우 무대 공간과 객석 공간의 경계를 지우고 역사적 과거, 연극적 상황, 공연이라는 현실을 혼재하게 한다. 다음 해 발표된 <오스트라키스모스>의 경우 공연이 되지 않았지만 <카덴자>의 공간 실험에서 진일보하여 극장 공간 전체를 아우르며 공연을 진행하는 극작 전략이 돋보인다.
    <카덴자>에서 관객은 여자관객이 연극적 상황에 차출되면서 무대 공간의 사건을 허구적 현실인 심미적 거리를 두고 대해야 하는지, 리얼한 상황, 특히 윤리ㆍ 도덕적인 판단으로 연극적 사건에 개입을 해야 할지 그 자체로 모순적인 상황을 경험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관객은 연극과 현실 사이의 경계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카덴자>는 연극적 상황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황’까지 그 맥락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오스트라키스모스>는 관객이 극장의 여러 구역을 돌아다니게 계획된 희곡이다. 이것은 관객으로 하여금 공간의 다양한 위치를 점유하고, 극 안의 특정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상대적 관점에 대한 이해를 유도하려는 작가의 시도일 것이다. 이처럼 <카덴자>와 <오스트라키스모스>는 무대와 객석 공간의 허물어 일상과 비일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성을 통해 관객이 연극적 사건을 경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여 현실에 대한 지각과 인식에 대해 새로운 사유와 반성적 사유를 유도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postulated the theatrical space presented in Lee Hyun-hwa’s plays―<Cadenza>(1978) and <Ostrakismos>(1979), which were the analysis subjects, for the heterotopic space that overlaps incompatible places in an actual place and investigated it with a focus on the play space and the event place. From a theatrical aesthetic point of view, <Cadenza> erases the boundary between the stage space and the auditorium space and mixes the historical past, theatrical situation, and the reality of performance. Though <Ostrakismos> released the following year was not brought onto the stage, it advanced the spatial experiment of <Cadenza> and showed a theatrical strategy for the performance embracing the entire theater space.
    As a female audience is dragged out into a theatrical situation in <Cadenza>, the audience experiences a contradictory situation due to whether the event on the stage space should be treated at an aesthetic distance or they should intervene in the theatrical event with ethical and moral judgment. In this situation, the audience experiences the boundary between the play and reality. As a result, the context of <Cadenza> can be connected to not only the theatrical situation but also to a “social situation.” Meanwhile, <Ostrakismos> is a play planned to let the audience move around the theater building, which may be Lee’s attempt to allow the audience to occupy various spots of the space and play a specific role in the play, while trying to understand the relative perspective. In this way, <Cadenza> and <Ostrakismos> can be said to induce new and reflective thoughts on the recognition and perception of reality by providing a place for audiences to experience theatrical events through heterotopic extensity that crosses the boundary between daily and non-daily as breaking down the stage and auditorium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순천향 인문과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