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크레덴셜리즘(Credentialism)과 교육-숙련 불일치 (Credentialism and education-skill mismatc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8.06
26P 미리보기
크레덴셜리즘(Credentialism)과 교육-숙련 불일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28권 / 2호 / 1 ~ 26페이지
    · 저자명 : 김안국, 이상호

    초록

    한국 사회의 학력주의 혹은 학벌주의 문제는 크레덴셜리즘의 구조이론으로 잘 파악할 수 있다. 크레덴셜리즘은 사회적 희소성이라는 사회구조적 요인이 개인으로 하여금 대학 졸업장(크레덴셜)을 지위재 획득의 수단으로 추구하게 하여, 교육시장에서 크레덴셜이 과잉으로 생산ㆍ소비되어 과잉학력, 교육과 직무숙련 불일치, 교육 자체의 붕괴 등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낳게 되는 구조가 성립한다는 이론이다.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를 비교하면, 크레덴셜리즘의 구조는 자유시장경제체제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 자유시장경제체제를 가진 국가들은 고등교육에 대한 민간의 사적 지출, 과잉학력, 교육과 직무숙련의 불일치 등이 조정시장경제체제의 국가들보다 더 크며, 특히 한국 사회는 그 정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인다.
    일반적인 능력의 상대적 순위를 추구하는 크레덴셜리즘은 한국 사회의 경제발전 과정에서 값싼 신호 및 채용 기제로 활용되어 사회에 일정한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이후 괜찮은 일자리의 수적 증가가 정체된 상태에서 청년들은 좋은 일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크레덴셜 취득 전쟁을 벌이는 등 크레덴셜리즘의 나쁜 결과가 나타나 지속되고 있다.
    크레덴셜리즘의 개선을 위해서는 직업교육 체제의 개혁을 필두로 노동시장 분단의 극복이 이루어져야 하며 동시에 개별 고용주들이 크레덴셜과 생산성의 관계에 대해 정확하게 판단을 내리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생과 부모들이 크레덴셜 추구를 완화하도록 다양하게 진로 개발을 하고 동시에 직업 문화를 변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problem of so-called scholasticism or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can be grasped by the structural theory of the credentialism. Because of social structural factors such as social scarcity, individuals pursue university diploma (credential) as a means of acquiring status, and thus the credentials are produced and consumed in the market, which leads to over-education, disagreement of education and job skill as unintended consequences.
    Comparing the linkages between education and the labor market, the structure of the credentialism is stronger in the free market economy than the coordinated market economy.
    Countries with a free market economy appear to be larger than those of the coordinated market economy in terms of private spending on tertiary education, over-education, disparities in education and job skills, where Korean society runs at its highest level.
    Credentialism, which pursues the relative ranking of general abilities, made a certain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economy as cheap signals and low recruitment costs. However, since the late 1990s, young people are waging credentials takeover battle to gain decent jobs which are now stagnated in growth.
    The improvement of the credentialism should be done by the reform of th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At the same time, labor market fragmentation must be overcome. In addition, the efforts for the change of perception of the credential user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career paths will alleviate the pursuit of the credent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