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지식인의 ‘중국 동국기사류(東國記事類) 서목’ 편찬 -이덕무(李德懋)․한치윤(韓致奫)․이규경(李圭景)의 경우를 중심으로- (Compilation of the Chinese Dongkuk Gisa Book Lists by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Lee Deok-moo, Han Chi-yoon, and Lee Kyu-kyu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3.11
26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지식인의 ‘중국 동국기사류(東國記事類) 서목’ 편찬 -이덕무(李德懋)․한치윤(韓致奫)․이규경(李圭景)의 경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문학연구 / 48호 / 237 ~ 262페이지
    · 저자명 : 김려화

    초록

    본고는 조선 후기 지식인이 편찬한 세 개의 중국 동국기사류 서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덕무(李德懋)의 <화인기동사(華人記東事)>, 한치윤(韓致奫)의 <동국기사(東國記事)>, 이규경(李圭景)의 <중원기동사(中原記東事)>에는 역대 중국 지식인들이 편찬한 한반도 관련 전문 저서를 수록하였다. 이덕무의 <화인기동사>에는 22종 서적을 수록하였고 한치윤의 <동국기사>에는 59종 서적을 수집하였다. 이규경의 <중원기동사>에는 23종 서적을 수록하였으며 이덕무의 서목 내용을 거의 그대로 계승한 것이다.
    이러한 서목에 수록한 문헌을 다시 세분하면 한반도 국기(國記), 행정록(行程錄)․견문록(見聞錄), 한반도 전제(典製) 관련 저서, 군사지기(軍事志記), 시문집, 역사서 등 여섯 종류가 확인된다. 그리고 기술(記述) 체계를 보면, 이덕무의 서목은 조선 중심적인 기술 체계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한치윤과 이규경의 서목은 조선 중심적 기술 체계를 넘어서서 자국에 대한 인식을 동아시아 한자 문명권에서 객관화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으며 객관적 기술 체계에 속한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세 개의 서목을 통해 조선 후기 지식인들이 자국에 대한 객관적 기술 체계를 구축해 나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었다. 한편 조선 지식인들이 작성한 중국 동국기사류 서목은 그들의 자타인식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자 중국의 한국학 성립의 연원을 탐구하게 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d on three Chinese Dongkuk Gisa book lists compiled by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Lee Deok-moo(李德懋)’s Hwaingi Dongsa(華人記東事), Han Chi-yoon(韓致奫)’s Dongguk Gisa(東國記事) and Lee Kyu-kyung(李圭景)’s Jungwon Gi Dongsa(中原記東事) contain specialized books on the Korean Peninsula compiled by Chinese intellectuals. Lee Deok-moo’s Hwaingigidongsa contained 22 kinds of books, and Han Chi-yoon’s Dongguk Gisa collected 59 kinds of books. Lee Kyu-kyung’s Jungwon Gi Dongsa contained 23 kinds of books and inherited the contents of Lee Deok-moo’s books.
    Re-segmenting the literature contained in these books identifies the types of Korean Peninsula encyclopedia, administrative records and observations, books related to the instit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ooks on the art of war, poetry collections, and history books. And if you look at the narrative system, it can be said that Lee Deok-moo’s book list belongs to the Joseon-centered narrative system. Han Chi-yoon and Lee Kyu-kyung’s book list showed efforts to objectify their perception of their country in the East Asian Chinese character civilization beyond the Joseon-centered narrative system and can be said to belong to an objective narrative system.
    Through these three book lists, it was possible to see the proces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ilding an objective narrative system for their country. On the other hand, the collection of Chinese Dongkuk Gisa book lists written by Joseon intellectuals will be evaluated as valuable data showing their own perception and data that can help us explore the origin of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tudies in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