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자의 윤리적 감정관 시론(試論) ― 덕성의 계발과 관련한 감정의 역할과 구조에 대한 공자의 생각 ― (Confucius’ Ethical View of Emotion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9.08
24P 미리보기
공자의 윤리적 감정관 시론(試論) ― 덕성의 계발과 관련한 감정의 역할과 구조에 대한 공자의 생각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59호 / 303 ~ 326페이지
    · 저자명 : 김명석

    초록

    본고는 공자의 수양론에서 감정이 차지하는 중요성, 그리고 『논어』에서 인간의 가치판단과 밀접히 연관된 호오의 반응이 다양한 상황 속에서 일어나는 구체적 감정들과 어떠한 관계를 맺는가 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공자의 윤리적 감정관을 논의한다. 1)고대 중국철학에서 한 사람을 다른 사람들로부터 구별시켜주는 그 사람만의 독특한 성격을 의미하기도 하는 정(情) 개념은 그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호오희로애락 등의 정서적 반응을 포함하며, 누군가가 특정 대상에 대해 어떠한 감정적 반응을 일으키는가 하는 것을 살피는 일은 겉으로 드러나는 언행에 의해 가려질 수도 있는 그 사람의 진정한 됨됨이를 파악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2)『논어』의 군자는 보통 사람들과는 다른 몇 가지 정서적 경향성을 지닌다. 그는 분노와 같은 몇 가지 “부정적”인 감정들을 특정한 경우 느끼지 않거나 혹은 잘 억제하지만, 한편으로는 부모의 사랑에 대한 감사와 존경, 부모의 안녕에 대한 걱정, 부모의 불행에 대한 슬픔 등과 같은 풍부한 정서적 감수성을 지니는 사람이기도 하다. 3)한편 이러한 다양한 감정들은 욕망과 혐오, 혹은 좋아함과 싫어함이라는 넓은 의미의 감정과 모종의 위계적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좌전』에서 호오와 희로애락의 관계를 생성론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반면 『논어』에서는 이 둘을 각각 포괄적 반응과 구체적 감정이라는, 한 대상에 대해 두 가지 층차에서 이루어지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정서적 경험이라고 본다. 이러한 호오와 희로애락에 각각 상응하는 특정 대상의 좋음 혹은 나쁨이라는 일반적인 가치론적 평가와 해당 대상의 다양한 측면을 아우르는 보다 자세하고 구체적인 가치평가가 존재한다는 생각으로 이어지며, 인간의 정서적 반응과 가치판단 간에 밀접한 연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공자의 입장은 『논어』의 군자로 하여금 소인과는 다른 대상들을 자신의 욕구와 혐오의 대상으로 삼아 도덕적으로 바람직하고 모범적인 정서적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바탕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discuss Confucius’ ethical view of emotion focusing on two aspects: 1) the importance of emotion in his view of character cultivation, and 2) how one’s desire and aversion (hàowù) intertwined with one’s evaluative attitudes play a pivotal role in organizing particular emotional reactions in various situations. Specifically, I argue for the following three theses: First, in ancient China the concept of qíng as one’s character that distinguishes its possessor from others includes one’s emotional reactions such as liking, disliking,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as its important constituents; and seeing what kinds of emotional reactions one is prone to have for certain objects often reveals what kind of person one truly is despite the influence of his words and behaviors. Second, the morally cultivated nobleman in the Analects has some unique emotional tendencies: On one hand, the nobleman in the Analects does not feel, or at least restrains himself from indulging in, certain dissociating emotions such as anger or indignation towards his parents. On the other hand, though, he is not merely a person of equanimity; he is rather a person of rich emotional experiences involving gratitude and respect for his parents’ love, worry about threats to his parents’ welfare, sorrow for his parents’ misfortune, and so forth. Third, in ancient Chinese philosophical texts, these various emotions seem to be in some sort of hierarchical relationship with desire and aversion or liking and disliking. While the Zǔozhuàn explains this relationship as if the former is generated from the latter, the Analects regards them as two different kinds of emotional reactions to a certain object, experienced respectively on the lower level of the generic responses of liking and disliking and the higher level of particular emotions. This idea, combined with Confucius’ view that one’s emotional reactions of liking and disliking are deeply intertwined with one’s evaluative thinking, leads to another idea that there exist two kinds of evaluative assessments corresponding to two levels of emotional experience, viz. the generic evaluative assessment of certain things’ favorable or unfavorable attributes and more detailed, concrete evaluation of the same things involving their assessment in various aspects. In addition, Confucius’ view of emotional reactions as closely intertwined with one’s evaluative judgment enables Confucius’ nobleman to choose different things than the petty man would do as the proper objects of his liking and disliking and enjoy morally desirable and exemplary emotional exper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