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도교회화 김덕성(金德成) 그림 〈괴성도(魁星圖)〉의 고찰 (A Study on the Joseon Daoist Painting the Goe Seong Do by Kim Deok Seong)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3.11
38P 미리보기
조선시대 도교회화 김덕성(金德成) 그림 〈괴성도(魁星圖)〉의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59권 / 103 ~ 140페이지
    · 저자명 : 조은일

    초록

    이 논문은 김덕성(金德成)이 그린 〈괴성도(魁星圖)〉의 명칭 문제에서 특히 혼동되는 문창(文昌)과의 구분 문제를 명확하게 하고, 문헌 분석과 도상 비교를 통해 〈괴성도(魁星圖)〉를 고찰하였다.
    먼저, 괴성과 문창제군의 구분 문제에서 조선시대에 명나라로부터 들어와 백과사전의 역할을 했던 『삼재도회(三才圖繪)』그림에서, 문창제군(文昌帝君)과 결합한 재동제군(梓潼帝君)이 괴성(魁星)의 도상과 양식적으로 구분됨을 밝혔다. 다음으로, 북경에 갔던 연행사들의 기록 검토를 통해, 중국의 괴성신이 문창각이나 괴성루의 감실 안에 소조 신상으로 모셔졌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의 기록을 통하여 조선시대에 ‘괴성도(魁星圖)’라는 명칭이 분명하게 사용되었으며 그 쓰임은 과거시험과 관련한 것이었다는 점을 밝혔다. 오늘날 우리가 볼 수 있는 괴성도 작품이 매우 드문 가운데에서 김덕성의 〈괴성도(魁星圖)〉는 큰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도상의 측면에서 『삼재도회(三才圖繪)』를 저본 삼아 김덕성의 〈괴성도(魁星圖)〉와 비교하여 보면, 그 유사성과 차이점은 발을 차올리는 모습에서 가장 뚜렷하게 드러난다. 둘다 왼발을 차올리지만 왼발을 뒤로 차올리는 저본과 달리, 김덕성의 〈괴성도(魁星圖)〉는 왼쪽 무릎을 앞으로 들어올리는 모습을 하고 있다. ‘발을 차올린다’는 양식은 정해져 있지만 그 해석이 다름에 따라 도상도 다른 것이 되었다.
    괴성에 대한 해석과 관련하여, 『장자(莊子)』와 『태평경(太平經)』 등에서 신선적 존재와 용이 함께 제시되었는데 이때에 용은 선인(仙人)의 탈 것으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괴성도(魁星圖) 속 용을 타고 있는 괴성 또한 선관(仙官) 즉 신선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김덕성 〈괴성도(魁星圖)〉는 도교회화 속에서 ‘선인도(仙人圖)’라는 장르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Daoist painting Goe seong do魁星圖 by Kim Deok Seong (1729–1797), shedding light on the identity of its central figure and the importance of the work through philological analysis and iconographic comparison. The title of the work names the painting’s central figure as Goe Seong魁星 (Ch. Kui Xing, “Chief of Stars”), presenting the problem of the slippery iconographies of Goe seong and Mun chang (Ch. Wenchang 文昌), a deity whose jurisdiction is and literary achievement. In the Joseon period (1392–1897), the Illustrated Compendium of the Three Powers (Ch. Sancai tuhui 三才圖繪, 1609) that had arrived from China during the Ming dynasty (1368–1644) was used as an encyclopedia. Its illustration of the figure appearing in Kim Deok Seong’s painting. First, through iconographic comparisons, the figures of Mun chang je gun and Goe seong are differentiated.
    Next, Mun chang je gun/Wenchang Dijun in the Chinese context and Goe seong/Kui Xing are distinguished through an approach of philological analysis using the records of Joseon-period envoys to the Chinese capital, present-day Beijing(K. Yeon haeng Rok 燕行錄). In China, there were cases of statues of Kui Xing enshrined as a deity. The nomenclature for the buildings constructed to enshrine Kui Xing and Wenchang respectively is explored to shed light on their distinctions of divine status and how they were worshipped as astral deities.
    Next, the writings of the literatus Yi Gyu-gyeong李圭景(b. 1788) are explored to determine extent to which Goe Seong was known in Joseon-period society. Looking at his work Random Expiations of Oju (K. O ju yeon mun jang jeon san go 五洲衍文長箋散稿), Yi Gyu-gyeong mentions that a Goe seong do is used in some situation to the Imperial Examinations in Joseon. From this, we can understand that during the Joseon period, “Goe seong do” had been conventionalized as the title for this iconography. Records offering testimony of Goe seong do are very rare, heightening the importance of Kim Deok Seong’s work.
    On the other hand, if we compare Kim Deok Seong’s painting with the illustration from the Ming-dynasty Sancai tuhui,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orthodox iconography, the respective positions of the legs are the most striking areas of distinction: the figure in the Kim Deok Seong painting has a leg lifted to the front, whereas the leg reaches out to the back in the Sancai tuhui illustration.
    Finally, considering various philosophic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painting and its subject, attention is paid to the dragon upon which Goe Seong rides in the painting by Kim Deok Seong. If we examine the painting’s depiction of the dragon, we can understand that the figure is in fact being depicted as an immortal. The inclusion of a dragon places this painting in the Daoist genre of immortal pain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