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깨비와 사귀어 덕보기>의 설화권 설정 시론(試論) (A Study on Setting Up the Regional Tale Zone of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0.05
42P 미리보기
&lt;도깨비와 사귀어 덕보기&gt;의 설화권 설정 시론(試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77권 / 2호 / 167 ~ 208페이지
    · 저자명 : 이혜란

    초록

    이 글은 <도깨비와 사귀어 덕보기>의 설화권역에 대한 가설을 제시하고 방언권과 민속권의 비교를 통하여 그 설화권을 공고히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깨비와 사귀어 덕보기>의 변이를 토대로 가설로 제시한 설화권역을 공고히 하고자 한 것은 해당 설화가 문화권이라는 특정 공간 속에서오랜 기간 삶과 문화를 공동으로 축적해 온 공동체의 특성이 담겨 있기때문이다. 이러한 공동체의 특성이 해당 설화에 나타나는 ‘문화적 표현’ 의 하나인 것이다. 하지만 제시된 설화권역이 가설이기 때문에 그 경계또한 어설프게 존재할 수 있다. 때문에 방언권과 민속권의 비교를 통해그 경계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각 설화권역의 경계를 확인하기 위해 각편의 변이를 도출하여 지도에 기호화하였다. 해당 설화는 주인공이 ‘도깨비를 만나는 과정’과 도깨비를 이용하여 부를 축적하고 ‘도깨비를 퇴치하는 과정’이 활발한 변이를보이며 전승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깨비를 만나는 과정’에서는 주인공과 도깨비와의 ‘만남 매개’와 ‘만남 계기’가 활발한 변이를 보이고 있으며, ‘도깨비를 퇴치하는 과정’에서는 주인공에 대한 ‘도깨비의대응’이 활발한 변이를 보이며 해당 설화의 유형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지도에 기호화한 결과 해당 설화의 권역을 평안도 일대로 구분되는<권역 A>,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를 아우르는 <권역 B>, 전라도에 해당하는 <권역 C>, 경상도에 해당하는 <권역 D>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제시한 설화권역이 가설이기 때문에 <도깨비와 사귀어 덕보기>에서표현되는 ‘여위다’의 방언 분포도와 방언권역과의 비교를 통하여 그 권역이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도깨비와 사귀어 덕보기>는아직까지 15세기 어형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대상을 신앙의 대상으로 섬기는 민속권과도 비교하였다.
    지금은 사라져 가고 있는 도깨비고사를 토대로 지도에 기호화하여 그분포를 확인한 결과 <권역 B>에서는 도깨비가 ‘섬김의 대상’으로 등장하고 있는 반면 <권역 C>에서는 ‘퇴치의 대상’으로서의 도깨비가 우세하게 전승되고 있어 <도깨비와 사귀어 덕보기>의 유형을 형성하고 있다고 추론하였다. 때문에 문화권이라는 특정 공간 속에서 설화 또한 공동체의 특성을 담아 변형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설화에서도 최소한의‘문화적 표현방식’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come up with a hypothesis on the regional tale zone in the motif of 〈getting on well with doggaebi and getting benefits〉 and solidify the concept of the kulturkreise through the comparison of dialect regions, boundaries between two distinct linguistic regions and the areas of folklore. The main reason for the attempt to solidify the concept of the kulturkreise presented as a hypothesis based on variations of the motif of 〈getting on well with doggaebi and getting benefits〉 is that the tale of this type re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which has accumulated forms of life and culture in a specific locality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are a part of the ‘cultural expression’ presented in the tales. However, as the concept of the kulturkreise is a hypothesis, the boundary line can be blurry. That is why this paper attempts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boundary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regions of dialect and the regions of folklore.
    In order to identify the boundaries of each area of culture, the variations of each version are derived and marked with signs on the map. The process in which ‘the hero comes across the doggaebi’, accumulates wealth by taking advantage of the doggaebi and gets rid of the doggaebi, shows a wide range of variety;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getting rid of the doggaebi, the countermeasures of the doggaebi against the hero are varied and comprise the type of tales. The areas of the corresponding tales are demarcated and presented as follows: region A comprising Pyeongan-do, region B comprising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do, region C covering Jeolla-do, and region D covering Gyeongsang-do.
    As the concept of the regional tale zone is hypothetical, by comparing the distribution of the dialect variations of the word “yeowida” with the regions of dialect, it is confirmed that the two regions overlap. In addition, the forms of the words of the 15th century are still used in 〈getting on well with doggaebi and getting benefits〉. By marking signs on the map based on the doggaebi-gosa now in decline and identifying their distributions, in Region B,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at the doggaebi appears as “the object of serving”, while in Region C, the concept of doggaebi as ‘the objective of eradication’ is dominantly passed down to posterity, and is presumed to contribute to formation of the type of 〈getting on well with doggaebi and getting benefits〉. Therefore, this paper confirms that tales express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form them in a specific locality, and comes up with the possibility of at least finding out ‘the method of cultural expr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