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寓窩 李德標의 삶과 문학세계 (Wuwa Lee Deok-pyo’s Life and Literary Worl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8.06
24P 미리보기
寓窩 李德標의 삶과 문학세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71호 / 7 ~ 30페이지
    · 저자명 : 김남기

    초록

    李德標(1664〜1745)는 경주 출신의 문인으로 李彦迪으로부터 이어져온 忠孝의 家學을 계승하여 의리의 실천에 진력하였다. 1666년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학업에 정진하였고, 고향으로 돌아온 뒤 출사를 단념하고 조상 및 지방 유현의 현창 사업에 힘을 쓰는 한편 경전 등을 탐독하며 학문에 전념하였다.
    경종이 즉위한 뒤 辛壬獄事가 일어나자 이덕표는 1722년에 영남 유생의 疏頭가 되어 서울에 가서 1701년에 억울하게 죽은 禧嬪張氏의 신원, 경종을 모해하고 延礽君의 왕세제 책봉을 주장하는 역신의 처벌, 三道 유생들의 상소를 지연시키는 승정원 관리의 처벌을 주청하는 여러 편의 소를 올렸다. 이들 상소는 대의명분과 충효에 입각한 글로 시사를 엄정하게 인식하고 표현이 매우 준절하였지만 경종의 비답을 받지 못하였다. 고향에 돌아온 뒤 학문에 전념하던 중 1725년 4월에 1722년의 상소로 말미암아 노론의 탄핵을 받아 평안도 龍川으로 유배를 갔다가 1727년 7월 해배의 명을 받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후 고향에 머물며 학문에 전념하는 한편 주변을 유람하며 시문을 짓기도 하고 조상과 유현의 현창 사업에 전념하다가 생을 마쳤다.
    본 논문은 다음의 순서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寓窩集』에 실린 시문을 통하여 그의 가계와 생애를 살피고, 그의 생애를 관통하는 정신이 충효와 의리의 실천임을 밝혔다. 3장에서는 『우와집』의 체제와 주요 내용을 약술하여 문학 세계의 주요 경향과 특징 등을 언급하였다. 4장에서는 이덕표의 문학 중에서 가장 정채를 띠는 시기, 곧 1722년부터 1727년까지의 작품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이덕표는 1722년에 영남 사림의 소두가 되어 辛巳獄事에 대한 辨誣와 역신의 처벌을 주청하는 소를 올렸고, 이 일로 말미암아 1725년 평안도 용천에 유배를 갔었다. 시문 중 상당수가 이 시기에 생산되었고, 이때 지은 작품들이 그의 문학세계에서 가장 중요하고 빛을 발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Lee Deok-pyo(1664~1745) was a literary man from Gyeongju, and the 5th descendant of Lee Eon-jeok. He succeeded his family’s scholarship of loyalty and filial piety, spoke frankly about the unjust reality, and held fast to his own views. At Sinimoksa, he became a leader of Confucian scholars in Yeongnam, and appealed to the king to resolve Hui-bin Jang’s false accusation and to punish disloyal party, which was a representative case. Because of this, he was exiled to Yongcheon, Peyongando, in 1725, and released in 1727, but he didn’t give up his principles even at the place of exile. He created a considerable number of writings of poetry and prose at that time, and these works were characteristic state of his literary world.
    In this thesis, first, Lee Deok-pyo’s life and practical aspect of loyalty were examined, and then the system of 『Wuwanjip』 and the main contents of his poetry and prose were investigated. Last, the works he wrote from 1722 to 1727 when he appealed to the king and was exiled were analyzed intensively, his fidelity, loyalty and filial piety were highlighted, and their literary meanings we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