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학윤리를 위한 새로운 덕 윤리 (New Approach to Virtue Theory in Engineering Ethic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0.05
26P 미리보기
공학윤리를 위한 새로운 덕 윤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54권 / 179 ~ 204페이지
    · 저자명 : 이진현

    초록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그동안 덕 윤리가 비판 받고 있는 문제 즉 무엇이 덕스러운 행위인지, 혹은 무엇이 덕스러운 품성인지에 대한 기준이 없다는 ‘불확실성의 문제’와 덕이 특정한 집단과 역사에 한하여 인정된다는 ‘상대주의’ 문제를 가진다는 것에 대하여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시바우(Edmund G. Seebauer)와 베리(Robert L Barry)가 시도했던 공리주의와 덕 윤리의 결합이 실제로 덕 윤리에 대해 제기된 비판을 극복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들은 외면적 행동은 내면의 의도에 의해 드러나는 것으로 한정하고 행위의 결과를 의도와 일치하는 것으로 도덕적 평가를 하는 것을 거부한다. 이와 달리 도덕의 내면적 태도는 외면적 행위의 결과를 승인 또는 불승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는 내면적 의도를 외면적 결과에 대한 선택된 태도로 본다. 이러한 의도는 각인을 통해 습관을 형성하는 내면적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점에서 습관을 강조하는 덕 윤리를 따르고 있지만 내면적 의도와 달리 외면적 행위는 행위의 결과를 계산할 수 있다고 간주한다. 그렇지만 공리주의가 좋음을 단순히 쾌, 불쾌 양만 계산하는 방식과 달리 각 행위의 좋음을 덕의 반영에 따라 평가한다. 이러한 덕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덕의 위계를 설정하였다. 이 글에서 필자는 그들이 주장하는 좋음의 총합을 계산하는 방식이 덕 윤리를 따르면서 덕의 불확실성과 상대주의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필자는 그들의 논의에서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첫째, 그들이 행위의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덕의 위계를 설정하였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개념에 따라 네 가지 덕목에 한정한 것이다. 그러나 덕은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고 덕의 종류도 다양하게 제시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들의 논의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둘째, 내적인 각인을 통해 습관화 된다고 주장하지만 각인은 개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상대주의에 빠질 우려를 가지게 된다는 점이다. 이와 함께 외면적 결과에 대한 선택적 태도로서 내면적 의도를 습관화하는 것이 미덕이 된다면 도덕적 행위를 매순간 계산될 필요는 없겠지만 습관화된 행위는 좋음의 결과를 계산할 수 없다는 모순적 상황에 놓이게 된다.

    영어초록

    Virtue ethics has been criticized for failing to give an explanation on who has virtue and what virtue action is. In considering the new interpretation of virtue ethics, this paper aims to address objections of this criticism. For the sake of objection, I use the approach described in Edmund G. Seebauer and Robert L Barry's virtue ethics in their attempt to reconcile utilitarianism and virtue theory. They criticize utilitarianism which is employed in the principle of utility but they accept that utilitarianism's mathematical analogies might prove useful in analyzing ethical matters. However, they deviate from utilitarianism in one crucial way: by evaluating benefits and harms explicitly according to the moral standards of the virtues. The goodness of each consequence is determined entirely by how it squares with the virtues and moves beyond classical virtue theory by including the idea of likelihood explicitly and systematically.
    They argue that moral action has both an exterior and interior dimension. The exterior dimension concerns the goodness of actions viewed from outside the person. The interior dimension concerns interior attitudes toward the virtue and includes personal intention. Interior intention is “to which consequences do we give approval?” We define our intentions as our chosen attitudes toward exterior consequences whether we approve or disapprove of each thing that might happen resulting from a moral choice. The exterior dimension concerns the results of consequences and uses mathematical equations. They balance the exterior goodness of the consequence by summing all the consequenc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Net goodness=∑(goodness of each consequence)×(importance)×(likelihood).
    But their net goodness has an issue. They think that there is virtue ranking and such a ranking would help greatly in resolving difficult ethical conflicts. They define virtues, justice and temperance, and other moral values like loyalty. The virtues have many aspects, so there are unable to rank the many virtues. The matter regarding the question of the interior attitudes (imprints) has many aspects. The person has many imprints so they are not measu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