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자(莊子) ‘덕(德)’ 개념의 미학적 해석 : 예술 주체의 관점을 중심으로 (A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Zhunangzi’s Concept of Virtu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0.06
44P 미리보기
장자(莊子) ‘덕(德)’ 개념의 미학적 해석 : 예술 주체의 관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31권 / 253 ~ 296페이지
    · 저자명 : 임태규

    초록

    현재까지 논의되어 온 동아시아의 미학에서 장자를 비롯한 도가 미학의 중심 개념은 ‘도’이다. 그렇지만 예술 창작은 예술 주체의 구체적인 실천 행위에 의해 성취된다는 측면에서 보면, 오히려 장자의 미학에서는 ‘덕’ 개념이 주목된다. 장자의 ‘덕’은 ‘도(道)’와 함께 장자 사유 방식의 주요 토대가 되는 개념으로 개체의 고유성ㆍ내적 잠재력ㆍ생명 작용의 근원을 의미한다. 개체의 고유성으로서의 ‘덕’은 개별 존재가 다른 존재와 구별되는 순수한 특성이다. 그리고 내적 잠재력으로서의 ‘덕’은 ‘조화로운 인격’을 갖춘 이상적인 정신 경지로서 타자와의 관계에서 원만함을 유지하는 잠재적 능력을 의미한다. 생명 작용의 근원으로서의 ‘덕’은 형체를 가진 사물이 각기 개별적 특성으로서의 자연적 본성인 ‘덕’을 가지게 됨으로써 완전한 생명체로서의 존재 가치를 발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가 지니는 특징을 예술 창작의 관점에서 보면 장자가 인식하는 예술 주체의 미의식이나 예술 창작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을 드러내는 것으로 파악된다. 창작 주체의 미의식은 실제 창작의 실천 행위로 승화될 수 있는 심미 기층이라는 점에서 창작 주체의 미의식을 형성하는 감성적 토대가 된다. 따라서 장자의 ‘덕’ 개념은 창작 주체의 창의적인 사고나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근원적 힘으로써 장자 미학 사상의 실질적 토대가 되는 개념으로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덕’을 분석 토대로 유추할 수 있는 장자 미학 사상의 특징을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장자식의 용어에 의하면 궤휼(憰)의 심미이다. 이것은 미의 외재성을 초월하며, 더 나아가 미추의 상대성 인식을 드러내는 것이다. 따라서 장자가 인식하는 예술 창작은 관념화된 것, 일상적인 것, 고정화되거나 형식화된 것들을 초월하기를 요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장자의 ‘덕’은 고정된 목표나 생각이 만들어내는 미추(美醜)ㆍ주객(主客)ㆍ시비(是非)ㆍ자타(自他) 등의 상대적 인식이나 이항 대립의 관계를 초월하여 조화를 이루고 합일을 추구하는 가치의 핵심 개념이다. 이 때문에 장자는 예술가와 수용자 간에 감성의 상호 조화와 합일, 즉 감성의 소통을 중시한다. 셋째, 장자의 심미 의식은 무의도성을 전제로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장자의 ‘덕’ 개념이 ‘무기(無己)’의 속성을 지닌다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무기’는 주체가 천지 만물 속에 융화된, 즉 ‘무화(無化)’된 상태에서 주객이 합일된 정신 경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체 자신의 마음에 주재하는 대상에 대한 고정된 인식을 제거할 때, 사고의 유연성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예술 행위는 성취될 수 있다. 그것은 주체의 의식이 고정되지 않는 지속적인 변화의 과정 속에서 심미적 감성이나 창조적 상상력은 정지되지 않고 무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예술 작품의 독창성도 발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장자』에서 주요 개념으로서의 ‘덕’은 예술 주체가 지향하는 최상의 심미 의식을 드러내는 개념이며, 장자 미학 사상의 구체성을 드러내는 개념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key concept of Taoist aesthetics including Zhuangzi’s in East Asia is ‘Tao’, a word that translates to ‘way’ or ‘path’, or sometimes more loosely ‘doctrine’ or ‘principle’. The notion of ‘virtue’ in Zhuangzi’s aesthetics, however, draws more attention in that any artistic cre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concrete, practical actions. Zhuangzi’s concept of ‘virtue’ refers to individual inherency, inner potential, and the source of life, alongside the notion of ‘Tao’. ‘Virtue’ as individual inherency is an element distinguishing an individual from other beings, and ‘virtue’ as inner potential means an ideal spiritual state with a ‘harmonious personality’ and the potential ability to maintain harmony in relations with others. ‘Virtue’ as the source of life means a life form displaying the value of its existence when an object with a concrete form comes to have this value as its individual trait.
    In terms of artistic creation, these features seem to reveal Zhuangzi’s awareness of an artistic subject’s aesthetic consciousness and his awareness of artistic creati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the subject of creation, can be an emotional basis for the practical activities for creation. Zhuangzi’s concept of ‘virtue’ is therefore presumed to be the substantial base of his aesthetic thought, as a fundamental force to provoke creative ideas and imagination.
    Based on this notion of ‘virtue’, Zhuangzi’s aesthetic though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aesthetic of ‘Grotesque[憰]’, or a vicious or iniquitous plan denotes a relative perception of beauty and ugliness, transcending the externality of beauty. Art creation, Zhuangzi recognized, is perhaps the demand to transcend the idealized, daily, fixed, or formalized. Second, Zhuangzi’s ‘virtue’ is a crucial notion of the value of pursuing harmony and unity, moving beyond the relative, confrontational relations between beauty and ugliness, subject and object, right and wrong, self and other. Zhuangzi seems to put emphasis on emotional harmony, oneness, and communion between artists and appreciators. Third, Zhuangzi’s aesthetic consciousness presupposes ‘un-intentionality’, which is associated with his notion of ‘virtue’, has the attribute of ‘wuji’(無己), or the lack of self-centered thinking.
    This ‘wuji’ refers to a spiritual state in which one’s subject is incorporated into the Ten Thousand Things, namely a state the subject becomes one with the object. A creative artistic act can be attained when fixed notions of objects are left behind and the artist works with a flexible mind. That’s why one’s aesthetic sensibility and creative imagination can be infinite and may not be suspended in a process of consistent change through the subject’s unfixed consciousness. With this, one may exert one's artistic creativity. The ‘virtue’ is thus the concept of displaying the highest aesthetic consciousness the artistic subject seeks, and also the notion signifying the concreteness of Zhuangzi’s aesthetic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