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들의 明 遺民에 대한 기록과 편찬의식 -李德懋의 『磊磊落落書』와 成海應의 『皇明遺民傳』을 중심으로- (Joseon Intellectuals' Records and Consciousness of Compiling of Vagrant people in the Ming dynasty in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With Focus on the Lee Deok-mu(李德懋)'s NoeLoeNakRak)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4.12
35P 미리보기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들의 明 遺民에 대한 기록과 편찬의식 -李德懋의 『磊磊落落書』와 成海應의 『皇明遺民傳』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28호 / 327 ~ 361페이지
    · 저자명 : 손혜리

    초록

    李德懋(1741-1793)와 成海應(1760-1839)은 당시 시대적 분위기와 개인의 사상적 배경이 부합되면서 방대한 분량의 『磊磊落落書』와 『皇明遺民傳』을 저술하였다. 이덕무는 연행시 오랑캐가 되어버린 중국을 보고 충격 받아 명말 유민에 관한 자료를 대거 취재하여 『뇌뢰낙락서』를 편찬하였으며, 성해응은 『뇌뢰낙락서』를 바탕으로 범례를 정하고 번잡한 내용을 산삭하여 『황명유민전』을 저술하였다.
    『뇌뢰낙락서』의 문제점으로 제기된 번잡함은 오히려 중요한 특장이 된다. 교정과 편집 과정을 거치지 않아 번잡하고 거칠긴 하지만 이덕무의 폭넓은 독서체험과 범위, 지적 탐구와 관심의 향방을 생동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황명유민전』은 완성도가 높은 데다 『뇌뢰낙락서』와의 비교 고찰을 통해 명 유민에 대한 기록이 편찬되는 과정의 추이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흥미롭다. 이처럼 『뇌뢰낙락서』와 『황명유민전』은 18~19세기 지식인들의 사상적 배경과 기록 태도, 편찬 의식 등을 규명할 수 있는 자료적 가치가 큰 저술이다.

    영어초록

    Lee Deok-mu(李德懋, 1741-1793)'s writing of NoeLoeNakRakSeo(『磊磊落落書』) and Seong Hae-eung(成海應, 1760-1839)'s writing of Hwang MyeongYuMinJeon (『皇明遺民傳』) coincides with an atmosphere of times and personal ideological background.
    Lee Deok-mu visited China in 1778 and was shocked to see China turned into a barbarian state. So he gathered related vagrant people in the Ming dynasty to document and compiled NoeLoeNakRakSeo. Seong Hae-eung's compilation of HwangMyeongYuMinJeon fixes a legend and focuses on the undecided constitution of NoeLoeNakRakSeo. These books have massive amounts of material and it is an event unprecedented in history, not only for Joseon but also for China as well.
    Lee Deok-mu and Seong Hae-eung have attitude of learning of erudition and historical research. In reality, NoeLoeNakRakSeo and HwangMyeong YuMinJeon revealed their attitudes of learning.
    But one problem is that NoeLoeNakRakSeo does not fix one of it's legend and it is a noticeable feature in his book. Even though it's complicated and rough because of the lack of editing, we can identify not only his experience in nature and his extent of reading, but also his intellectual pursuit and interest.
    Also HwangMyeongYuMinJeon fixes and edits legend of NoeLoeNakRakSeo, so it is high quality book which refers to the latest books. It is interesting that we peep process of compilation of vagrant people in the Ming dynasty comparing with NoeLoeNakRakSeo.
    Therefore NoeLoeNakRakSeo and HwangMyeongYuMinJeon are valuable textbooks which reveal ideological backgrounds, attitudes of records, and consciousness of compiling in the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