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忠淸 懷德縣 宋村里 지역의 私奴婢 존재 양상-恩津宋氏 同春堂 後孫家 호적자료를 중심으로- (Study on Existence of Private Slave of Chungcheng(忠淸), Heoduk-hyun(懷德縣), Songchon-ri(宋村里) a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 on Family Register of Descendantof Eunjin Song’s cla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7.12
40P 미리보기
조선 후기 忠淸 懷德縣 宋村里 지역의 私奴婢 존재 양상-恩津宋氏 同春堂 後孫家 호적자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53호 / 159 ~ 198페이지
    · 저자명 : 박경하, 황기준

    초록

    조선시대 戶籍은 당시 인구 파악 이외에 부세 확보, 주민 통제 등 여러 용도로 활용되었다. 이에 호적은 체계적인 절차와 일정한 양식 등을 통해 관리된 국가 운영의 기초적인 자료였다. 본 연구는 恩津宋氏 同春堂 後孫家의 17~19세기 호적자료 53점 중 46점을 통해 私奴婢의 수록 현황 및 그 존재 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7점의 호적자료를 제외한 이유는 노비를 기재한 부분이 훼손되었거나, 主戶가 장남이 아닌 관계로 물려받은 노비의 수가 매우 미미하였기 때문이다. 본 호적자료가 지닌 가장 큰 특징은 약 200여 년간의 자료들이 연속성 있게 전해왔다는 점과 현재까지 비교적 연구 성과가 미흡했던 충청 지역 사노비의 존재 양상을 다각도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호적자료가 작성된 지역은 忠淸 懷德縣 內南面 宋村里이다. 이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유학자였던 同春堂 宋浚吉(1606~1672) 후손들의 세거지로서, 17세기를 전후로 시작하여 은진 송씨가 해당 지역의 鄕權을 오랫동안 지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은진 송씨의 사족들은 대대로 사노비 소유 숫자가 다른 가문들에 비해 상당히 많은 양상을 보였다. 18세기 후반에는 도망노비를 제외한 총 소유노비의 숫자가 200구 가까이 될 정도로 절정을 이루다가, 19세기 말부터는 그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었다. 이는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부터 양반가 사노비의 감소라는 사회 전반적 흐름보다 다소 늦은 양상이다.
    그리고 당시 동춘당 후손가의 외거노비들은 18세기 초중반까지 京에만 거주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후 외거노비의 거주 지역은 충청도를 중심으로 하지만, 18세기 말부터는 전라도와 수도권, 그리고 경상도에까지 외거노비가 분포했다. 도망노비들은 대체적으로 전후 식년 호적자료마다 중복으로 기재된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에 숫자가 급격하게 증가 혹은 감소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호적자료에서 실제 도망한 노비들의 사례들을 반영하기도 하지만, 의도적으로 주호가 그들의 재산을 조정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본 호적자료의 주호는 대부분 장남이었고, 일반적으로 嫡子에게 주호의 자리와 사노비 대다수를 물려주었다. 그러나 아들과 손자가 일찍 사망하여 그들에게 주호 및 사노비를 물려줄 수 없게 되면, 나이가 어린 10대의 증손자에게라도 넘겨준 경우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춘당 후손가의 사노비 연령은 10세 미만부터 90세 이상에 이르기까지 넓게 분포되어 있었다. 이때 가장 많은 연령대를 차지하는 나이는 10~40대였으며, 이는 자녀의 생산능력 및 노동이 가장 활발하게 가능한 연령이었다. 그리고 80대 이상의 연령부터는 현실적으로 생존 여부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은 형식상 기재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들은 주로 도망노비의 경우가 다수였다. 이들의 경우, 혹시 모를 推刷를 위하거나 추후 노비 관련 소송에 휘말릴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호적자료의 노비 가계 구성은 부모와 그 소생이 모두 노비로 이루어진 형태가 일반적이었지만, 양인과 노비 사이에서 출산이 이루어진 경우 또한 적지 않았다. 이러한 유형의 대부분은 당시 上典들이 노비를 혼인시킴에 있어 재산증식을 최우선의 목적으로 하였고, 이에 대한 통제는 철저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때에 따라서는 1명의 婢가 2명의 奴 사이에서 각각의 소생들을 낳은 경우도 있었다. 이때 아버지가 다른, 즉 異父의 관계에 놓인 소생들일지라도 호적자료에는 태어난 소생의 순서대로 연속성 있게 기재함으로써 서로가 연결되어 있는 관계임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Family register was used to understand population, secure taxation, and control the residents in Joseon period. Thus, the family register, as the basic reference, was managed through the systematic form and procedure. This paper examines the number,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existence of private slave from 46 out of 53 family registers of Dongchundang descendant of Eunjin Song’s clan in the 17th~19th centuries. The most crucial feature of this reference is that it had continuously passed down for approximately 200 years and it introduced the existence of private slave of Chungcheong area, which was insufficiently researched compared to the other areas.
    This reference of family register had written in Chungcheong, Heoduk- hyun, Naenam-myun, Songchon-li. This area was the village where the Dongchundang descendants of Song, Jun-Gil(1606~1672) resided. Around the 17th century, the Confucian scholar, Jun-Gil Song and his clan(Eunjin Song family) controlled this area’s Hyanggwon for long time. Based on this fact, the Sajoks of Eunjin Song family notably had more private slaves than the other clans.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Song family had almost 200 private slaves and it was the time when they had the highest number of slaves except runaway slaves, but the number remarkably decreased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Compared to the general aspect that the number of private slaves, who were subordinated in family of ruling class, declined in the late 17th century to early 18th century, the decline of private slaves of Eunjin Song’s clan was slightly late.
    Moreover, the reference indicated that the out-resident slaves were lived in the capital city(京) in the early-middle 18th century. After that, the residential district of most out-resident slaves were Chungcheong-do. However, their residential districts were distributed to Jeonlla-do, capital area, and Gyeongsang-do from the late 18th century. For the runaway slaves, they were frequently recorded twice in each family registers which were written in every 3 years. The reference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runaway slaves were rapidly decreased or increased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century. This fact reflects the case of slaves who really escaped but its main intention was to adjust the Juho(主戶)’s property.
    The Juho of this family register was mostly the oldest son, and Juho’s position and most private slaves were generally succeeded to legitimate child(嫡子). However, if the legitimate son and grandson were not able to inherit the position of Juho and the private slaves due to their early death, then it could rarely be succeeded to the teenage great-grandson.
    The age range of private slaves of the Dongchundang descendants were largely distributed from under 10 to over 90 years old. The highest age range was 10~40 years old, and people with this age were able to work actively and have child. The survival of people over 80 years old were uncertain in reality, so it assumes that it was formally written and there is high chance that they were mostly the runaway slaves. It seems that it was recorded in order for the investigation of slave(推刷) or for the lawsuit related to slaves in the future.
    The household formation of this reference was mostly organized with parent-children slaves, but there were some slaves who were born in between commoner class and slave. Most of this cases, the masters intended to increase their property by marrying off their slaves and the master strictly managed this procedure. Moreover, there were some cases where one female slave had children from two different male slaves. For those of slaves, even though they were half brothers and sisters, they still were recorded as in order to emphasized that they are related by bl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