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後期 寶城士人 朴馨德의 生涯와 鄕村敎化策 (Park Hyeong-Deok(朴馨德), an Aristocrat in Boseong in the Late Chosun, his Life and Scheme for the Community Reclamati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9.12
38P 미리보기
朝鮮後期 寶城士人 朴馨德의 生涯와 鄕村敎化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1권 / 46호 / 1 ~ 38페이지
    · 저자명 : 김봉곤

    초록

    본고는 수령권이 강화되고 재지사족들의 향촌지배력이 약화된 조선 후기 특히 정조 연간과 순조 초에 보성출신의 士人 박형덕이 어떻게 사족으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향촌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는가를 살펴본 글이다.
    박형덕은 선조 때의 보성의 유명한 학자였던 朴光前의 후손으로 태어났으나, 그가 살았던 시기는 사족들의 향촌지배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었던 때였다. 이에 그는 향교를 출입하고 수령과 교유하면서 향촌사회에서 사족의 위상을 높이려고 하였고, 同姓村落을 새롭게 마련하여 족적 결속과 문중세의 확산에 노력하였다.
    그는 우선 농촌에서의 농업생산력 증대에 주력하였다. 그는 불균등한 토지 소유나 三政의 문란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각종 농법을 보급하거나 개선하여 농업 생산력의 증대를 꾀하였다. 당시 빈부격차가 극심한 현실에서 사족이나 농민들이 어느 정도 농지를 갖고 생산 활동에 종사하여 부가 축적되어야 부모를 봉양하거나 유교적 예속을 실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1796년에 寶城 鳴鳳洞으로 동족들의 거주지를 옮긴 이후에 새로운 정착지에서 유교적인 윤리를 통해 동족들의 결속을 도모하는 한편, 보성지역을 유교적으로 교화하고 유교적인 예속을 보급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는 수령에게 건의하여 鄕校-面訓長-書堂의 敎育體系를 보성지역에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小學』 교육을 통해 올바른 심성의 도야를 꾀하였다. 또한 향약을 실시하여 부모나 부자, 친척, 붕우, 이웃 간에 孝悌나 和睦 등 유교적 도덕을 확립하고 관・민간에 기강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鄕飮酒禮 등의 유교적 예속을 널리 보급하고자 하였다. 그의 이러한 향촌 교화책은 정조 대 이후 정학을 숭상하고 이단을 배척하려고 하였던 국가의 정책에 사족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사족의 역할을 증대시키려고 하였던 것과도 관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실제 『소학』을 교육하거나 향음주례에도 직접 참여하였으며, 鄕約長이 되어 향약을 지도하기도 하였다. 또한 서원이나 사우에 배향된 인물에 대한 충절과 효행을 찬양하거나, 수령들에게 많은 충절 인물에 대한 표창이나 지원을 부탁하였다. 이러한 그의 활동으로 향촌사회에서의 그의 명망이 크게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그가 옮겨간 마을이나 보성 지역에 유교적 예속과 기풍이 크게 장려되었다. 19세기에 이르면 보성 지역은 다른 어느 지역보다 효자나 열녀가 다수 배출되었으며, 한말에는 일제의 부당한 국권 침탈에 맞서서 의병운동이 크게 일어나게 되었는데, 박형덕과 같은 향촌 지식인의 교화활동과 관계가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scribes the life of Park Hyeong-Deok, an aristocrat who was from Boseong, and his scheme through which he helped the local nobility raise its status and have an influence on the community in the late Chosun period when county magistrates(守令)'s power was becoming bigger, and on the other hand, the local aristocrats were losing their influence.
    Park was a descendant of Park Gwang-jeon, who was a renowned scholar in Boseong when the king was Seon-jo. When he lived, the local aristocrats were losing their control over the community. So, he tried to regain their authority by joining Hyangyo(鄕校 County School) and mixing with the county magistrates(守令), and he also made efforts to strengthen family ties and increase the clout of lineages by establishing new communities consisting of same family names.
    He first paid attention to improving agricultural production. He was critical of the inequality of landownership and the breach of Sam-Jung(three administrative policies) and he attempted to disseminate and refine various agricultural techniques to increase production. At the time,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was very huge, and people needed land to make a living by farming so that they could support their family and implement Confucian obligations.
    He moved the residence of his relatives to Myeongbongdong in Boseong in 1796, and promote the domestic union in the new location. Furthermore, he tried to reclaim the Boseong area through Confucianism. He suggested to the local official an idea to build an educational system in Boseong, and gave efforts to help people to develop their mind by teaching them Sohak. Besides, he practices Hyang-yak to raise Confucian morality such as order and harmony, and tried to spread the Confucian manners. His scheme for the community reclamation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aristocrats' efforts to strengthen their influence by participating in the government's policy to pursue the originality of Confucian and exclude heterodoxy.
    He taught Sohak(小學) and took part in Hyang-eum-ju-lae(鄕飮酒禮), and he was the head of Hyang-yak(鄕約). He also praised the loyalty and filial piety of the figures who were enshrined in Seowon(書院) or Sawoo(祠宇), and suggested to the officials providing support and commendation to them. Thanks to all of his efforts, he earned high reputation in the community, and the Confucian manners were promoted through the areas where he was staying. By the 19th century, there were lots of filial sons and daughters in Boseong, and there were the resistance of the loyal troops against Japanese invasion, which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efforts of the local literati like Pa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