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자(莊子)사상의 덕(德), 추(醜) 개념을 중심으로 본 고성오광대 문둥북춤의 양식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Goseong Five-Clown Leper Drum Dance Based on Chuang-tzu’s Concepts of Virtue(德) and Ugliness(醜))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4.11
36P 미리보기
장자(莊子)사상의 덕(德), 추(醜) 개념을 중심으로 본 고성오광대 문둥북춤의 양식적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과학기술 / 10권 / 4호 / 107 ~ 142페이지
    · 저자명 : 주송현

    초록

    장자 철학의 목적은 현실세계에서 잊고 있는 내면의 덕을 깨달아 변화하는 세계의 흐름에 동참하는 데에 있으며 그것이 그가 주창하는 진정한 의미의 덕이다. 장자는 도가 개별화되고 구체화된 것이 덕이라고 말하며, 이를 훼손하지 않고 온전히 보전한 사람을 참된 경지에 이른 인물인 신인(神人), 진인(眞人), 성인(成人)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와 덕을 체득한 사람에게는 신체상의 추는 문제되지 않는다. ‘만물을 모두 똑같다(萬物皆一)’는 것을 체득한 사람은 형체의 미추를 초월할 수 있고 따라서 자유스러울 수 있다. 이러한 사상을 근간으로 하여 장자는 인간 기형으로서의 추를 심미적 대상이자 미적 범주로 파악한다. 즉 비록 형체는 추하지만 내면적으로 순박한 덕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은 심미적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자연의 순리에 따르며 인위(人爲)로서 덕을 훼손하지 않고 자연스러음을 추구하는 ‘무위자연의 미’와 이러한 삶의 방식을 따름으로서 억압된 현실로부터 자유로움의 정신경지로 이행되는 ‘유심, 열리 소통이 가능해짐’을 문둥북춤의 양식적 요소인 탈, 춤사위, 의상, 연희 공간, 반주 음악, 소도구에 적용하여 논의하였다.
    고성오광대의 문둥북춤에서 문둥이의 기형적 움직임을 묘사하는 것은 단순히 장애인들을 흉내내거나 모방하기 위함이 아니다. 문둥이라는 인물이 지닌 내면의 덕을 훼손하지 않고 온전히 드러냄으로서 한 차원 더 높은 경지의 미적 체험을 하기 위함인 것이다. 물오리의 다리가 짧고 학의 다리가 긴 것은 본래 타고난 형체 즉 개별 사물의 미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덕의 특성이 그러한 것처럼 이런 형체가 그들에게는 편안한 것이며 그 형체 자체로 아름다움을 갖는 것이다. 이는 장자가 말하는 ‘도가 그 모습을 주었고 천이 그 형을 주었다.’는 사고의 미학적 이해이며, 천지유대미(天地有大美)의 미의식적 사고인 것이다. 따라서 고성오광대의 문둥북춤이 세월이 지나도록 훼손되지 않고 꾸준히 전승・발전되어온 점을 반추하면 예로부터 비정상인들의 외형상으로 보이는 추함과 부자유스러움에서 오히려 가장 인간다운 미를 발견한 선조들의 지혜를 확인할 수 있다.
    인간 내면의 멋보다는 외형이 중시되고 몸이 곧 상품성으로 귀결되는 현 시대적 상황을 감안할 때 장자의 도와 덕, 미추관과 더불어 문둥북춤이 대변하고 있는, 진정한 아름다움의 정의를 내면의 본질에서 찾고자 한 선조들의 정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게 다가온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장자 사상의 관점을 통한 다양한 연구들이 한국춤에서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esthetic values inherent in the stylistic components of Leper Drum Dance, Chapter 1 of Goseong Five Clowns, based on Chuang-tzu’s main concepts of virtue and ugliness, which had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ory of Oriental Art within his thinking system. Through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Chuang-tzu regarded a life pursuing nature intact as it is, through which people adapt themselves to the logics of nature with no artificial touches made in their lives and behaviors, as a passage to the highest spiritual state, and even in judging the aesthetic values of objects, he believed the closer to the logics of nature objects were, the higher aesthetic values they had. In this light, the beauty of nature intact in Leper Drum Dance is inherent in masks describing lepers’ appearances both realistically and symbolically, dancing movements sublimating deformative motions into a dance, and even simple costumes without ostentation or vanity. When this dance is understood with Chuang-tzu’s concepts of virtue and ugliness, therefore, it shows a process of lepers overcoming their ill-fated lives through this dance and changing them to bright ones by exposing their inner virtues as they are, although their outer appearances might be ugly. Since this process is to embody the provision of natu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beauty of nature as it is can be created through this dance. Besides, Chuang-tzu explained that what are considered as beauty and ugliness in reality can change depending on aesthetic subjects since the standards of beauty and ugliness change from a different aesthetic point of view, and differences between beauty and ugliness can be united into one in the aspect of their essences. Therefore, this study discovered that a character like a leper can change into an aesthetic object by applying Chuang-tzu’s viewpoints to lepers’ appearances and dancing movements.
    Secondly, in Chuang-tzu’s thoughts, Enjoyment(遊) is freely enjoying things free from worldly cares without being bound by anything. It can be achieved only when we arrive at a spiritual state where our mind is harmonized with virtues and understand the logic of ‘All Things Being the Same(萬物濟同)’. When dancers playing the roles of lepers and the audience share time and space with each other and get absorbed into this Leper Drum Dance, they can enjoy their spiritual freedom and liberation to the fullest through excitement and passion, thus arriving at the state of Enjoyment. Furthermore, this study could discover that intangible space without a boundary between the performance stage and seats, musicians’ music played in the very site and props playing a role as a catalyst to dramatically show leper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are components that make it possible for both the dancers and audience to enjoy themselves in a free state of absolute spirit, free from all kinds of worldly restraints and confin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과학기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