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문점화 조건과 문장수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복문산출능력 비교 (The Effects of Sentence Structure Priming and Number of Sentences on Complex Sentence Production in Children Who Do and Do not Stutter)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5.10
23P 미리보기
구문점화 조건과 문장수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복문산출능력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특수교육 / 14권 / 3호 / 21 ~ 43페이지
    · 저자명 : 윤미라, 심현섭

    초록

    연구목적: 초등학교 일반 아동과 말더듬 아동의 구문점화 조건과 문장수에 따른 복문산출능력을 비교하여 복문을 산출할 때의 통사처리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성별과 학년을 일치시킨 초등학교 1-3학년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 각 15명씩, 총 30명에게 복문만들기 과제를 테블릿PC용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적용하였다. 두 집단의 구문점화조건(점화 유/무)과 문장수(2문장, 3문장)에 따른 복문산출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 3요인 혼합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고, 말더듬 아동 집단의 구문점화조건과 문장수에 따른 비정상적 비유창성 비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두 집단의 정반응률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말더듬 아동집단은 점화문장이 제시될 때 정반응률이 높아지는 폭이 일반 아동집단보다 컸다. 둘째, 두 집단 모두 점화문장이 제시될 때 반응시간이 빨라졌는데, 말더듬 아동집단은 점화문장이 제시될 때 반응시간이 빨라지는 정도가 일반 아동집단 보다 컸다. 셋째, 말더듬 집단은 점화문장이 제시될 때와 2문장을 복문으로 산출해야 할 때 비유창성 발생 비율이 유의하게 낮아졌다. 결론: 복문 산출에 있어서, 말더듬 아동은 문장의 구조를 계획하고 알고 있는 문법적 지식들을 동원하여 결합시키는 효율성에 있어서 일반 아동보다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말더듬 아동집단의 경우 점화문장이 주어졌을 때와 복문으로 산출해야 하는 단문의 개수가 줄어들었을 때, 비정상적 비유창성 비율이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보아, 말더듬 아동에게 통사적 처리과정에 대한 언어적 압력을 덜어주고 복문 산출을 좀 더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 문장 산출 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적 비유창성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ability of complex sentence production and the syntactic processing abilities between the elementary grades 1-3 in children who stutter (CWS) and do not stutter (CWNS). Method: This study identified 15 CWS and 15 CWNS as participants. Procedures involved a computer-assisted complex sentence production task, during which each participant was presented with the same set of 40 questions of target sentences. Both groups of children had to combine two simple sentences and three simple sentences under two conditions: (a) spontaneous condition, (b) sentence priming condition. The statistical methods of three-way mixed ANOVA were adopted to the test.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0 difference between CWS and CWNS was found in accuracy, but there was a sentence priming effect in the CWS group.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WS and CWNS groups was found in reaction time, furthermore, there was a sentence priming effect in CWS group. Third, the CWS group was more likely to stutter during a no priming condition and combining three simple sentenc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WS may have difficulty in rapid and efficient planning or retrieving of sentence-structure units in complex sentence produc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syntactic complexity and the length of the sentence influence the stuttering of CWS when they had to produce complex sent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특수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