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사를 자주 할수록 더 외로운가? 심리적 다채로움의 완충 작용 (Do frequent residential moves relate to increased loneliness? Exploring the buffering role of psychological richnes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4.02
17P 미리보기
이사를 자주 할수록 더 외로운가? 심리적 다채로움의 완충 작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38권 / 1호 / 1 ~ 17페이지
    · 저자명 : 박은정, 염혜은, 신지은

    초록

    이사는 삶의 보편적인 경험이다. 하지만 익숙한 곳을 떠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은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을 동반한다. 특히 빈번한 이사로 인한 기존 관계의 단절은 외로움의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동시에 이사는 삶을 다채롭고 풍요롭게 만드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이 ‘변화’를 수용하는 자세에 따라 이사의 영향력이 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고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심리적 다채로움’에 주목하였다. 심리적으로 다채로운 삶이란 비록 긍정적이지 않더라도 새롭고 다양한 경험과 도전이 가득한 삶을 뜻한다. 다채로움이 높은 사람들은 이사에 따른 환경 변화나 낯섦도 자신의 삶을 풍성하게 해주는 경험 일부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총 2개의 연구를 통해 심리적 다채로움이 이사로 인한 외로움을 완화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예상대로 심리적 다채로움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람들은 유․청소년기(연구 1) 및 성인 초기(연구 2) 이사 경험이 많을수록 높은 외로움 수준을 보고한 반면, 심리적 다채로움이 높은 사람들의 이사 경험은 외로움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심리적 다채로움의 조절 효과는 성별, 나이, 성격 5요인 등의 관련 변인들을 통제하고도 유효했다. 본 연구는 주거지 이동으로 인한 외로움을 경감시키는 새로운 보호 요인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Moving, a universal life experience, often induces psychological distress during the adjustment to unfamiliar environments. The disconnection from established close relationships is particularly recognized 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loneliness. However, moving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to enrich one’s life. It seems thus plausible that the adverse influence of moving may differ depending on individuals’ readiness to embrace change. Drawing from contemporary research on ‘psychological richness,’ which involves novel, complex, and perspective-changing life events, even if not inherently positive, we hypothesized that frequent moves may exert a less adverse influence on individuals living a psychologically rich life. Across two studies, we examined whether psychological richness mitigates the link between residential mobility and loneliness. As expected, frequent moves (during childhood in Study 1; during adulthood in Study 2)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loneliness among individuals with relatively lower psychological richness. However, this association disappeared among those with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richness. Moreover,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richness remained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relevant variables, including gender, age, and the Big 5 personality traits. Our study offers a valuable contribution by unveiling a novel protective factor that alleviates the loneliness tied to personal moving experi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