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이후 말더듬 아동 어머니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말더듬에 대한 인식 및 양육행동의 변화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Experiences of Mothers of Children who Stutter After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Changes in Stuttering Perception and Parenting Behavior)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4.01
14P 미리보기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이후 말더듬 아동 어머니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말더듬에 대한 인식 및 양육행동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언어치료연구 / 33권 / 1호 / 101 ~ 114페이지
    · 저자명 : 김은나, 강혜원, 이지수, 이수복, 심현섭

    초록

    목적: 말더듬 아동의 어머니들은 자녀의 말더듬을 스트레스 상황으로 간주함으로서, 양육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언어치료를 종결한 말더듬 아동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내부자적 관점에서 말더듬에 대한 인식과 양육행동의 변화과정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방법: 종단연구에 참여한 말더듬 아동 어머니들 중 연구 책임자의 추천을 받아 3명의 사례자를 선정하여, 2023년 8월~9월까지 1:1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Creswell(2013)의 사례 연구 절차 방법에 따라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총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말더듬에 대한 인식의 측면에서 두려움과 막막함에서 내려놓음으로 심경의 변화가 있었고, 둘째, 양육방식과 태도의 측면에서 훈육하는 엄마에서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엄마로 변화하였고, 셋째, 놀이방식의 측면에서 주도권이 엄마에게서 아동에게로 넘어가는 변화가 나타났다. 넷째, 말더듬에 대처하는 어머니의 관리 방법적 측면에서 스스로 언어치료사가 되어 편안한 언어환경을 조성하고, 말더듬을 객관화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연구 참여자들은 말더듬 아동의 양육을 스트레스 상황으로 간주하였으나, 언어치료 과정을 통해 말더듬에 대한 정보와 부정적인 고정관념들을 이해하여 심리적으로 편안해졌으며, 가정에서 아동의 말더듬을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어 양육에 자신감이 생기고, 치료종결 후에도 말더듬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처방식을 문제 중심적 대처와 정서 중심적 대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문제 중심적 대처로 아동의 말더듬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심리적 요인을 파악하고, ‘말더듬’ 조절을 도와줄 수 있는 상호작용목표들을 관리하였다. 또한, 말더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부정적인 고정관념과 인식이 변화되면서 정서 중심적 대처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 언어치료 시 부모교육 및 상호작용치료가 중요하고, 부모가 아동의 유창성을 개선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s how mothers of children who stutter (CWS) perceive stuttering’s stress on parenting attitudes and behavior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we delve into their perspectives and the parenting behavior changes following their children’s completion of intervention.
    Methods: Three mothers of CWS who participated in a longitudinal study for three years were recommended by the research director for inclusion in this study. From August to September 2023,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following Creswell’s(2013) case study procedure, including within-case and cross-case analyses.
    Results: The analysis uncovered four key themes. Initially, there was a shift in the perception of stuttering, transitioning from fear and anxiety to acceptance, signifying emotional changes. Subsequently, parenting styles evolved from disciplinary to empathetic, as mothers became more attuned to their child’s emotions. Furthermore, play styles demonstrated a shift of control from mothers to children. Lastly, mothers adopted coping strategies, such as acting as their child’s speech therapist, fostering a comfortable language environment, and embracing an objective perspective on stuttering.
    Conclusions: Participants perceived parenting CWS as a source of stress. However, through the speech-language intervention process, they gained insights into stuttering, dispelled negative stereotypes, and achieved psychological comfort. Learning to manage their child's stuttering at home bolstered their parenting confidence, extending beyond intervention completion. Two coping strategies emerged: problem-focused, involving the identification of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child's stuttering, managed through interaction goals; and emotion-focused, manifesting when mothers received information about stuttering, resulting in changes in negative stereotypes and perceptions. Thus, parent education and interaction therapy during preschool-age CWS intervention are crucial, emphasizing the significant role parents play in enhancing child's fluen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언어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