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살펴본 세대 갈등에 대한 온라인 댓글 여론의 반응 : 세대 연대를 위한 미디어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Online Public Opinion on the Conflict Between Young and Old Generations through Topic Modeling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Media‘s Role in Generational Solidarit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2.02
38P 미리보기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살펴본 세대 갈등에 대한 온라인 댓글 여론의 반응 : 세대 연대를 위한 미디어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6권 / 1호 / 89 ~ 126페이지
    · 저자명 : 안순태, 이하나, 정순둘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뉴스 미디어에서 자주 보도되고 있는 청년세대와 기성세대의 갈등에 초점을 두고, 뉴스 기사에 달린 댓글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세대가 빚고 있는 갈등을 대하는 공중의 시각이 어떠한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갈등의 주체는 2021년 현재, 10대 후반부터 30대 중반에 해당하는 청년과 50대 초반부터 60대 초반까지에 해당하는 중년이다. 수집된 댓글은 총 5개의 주제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토픽은 MZ세대로 불리는 청년세대를 향한 의견들로, ‘지나치게 개인적이고 자신의 권리만 주장하려 하는 이기적인 세대’, ‘일은 제대로 하지 않으면서 투정만 부리는 세대’라는 평가가 나타났다. 두 번째 토픽은 기성세대를 향한 의견들로, ‘자기 생각을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상사’, ‘잔소리만 하고 쓸데없이 모임만 강조하는 상사’ 등과 같은 의견이 담겨 있었다. 세 번째 토픽에 해당하는 댓글들은 ‘요즘의 청년세대와 기성세대가 겪는 갈등은 새로운 문제가 전혀 아니며, 시대가 변하더라도 항상 존재해왔던 일’이며, ‘꼰대 문제도 현재의 기성세대인 386세대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옛날부터 있었던 우리 사회의 문화’라는 점을 이야기했다. 네 번째 토픽은 세대 갈등을 겪거나 발생시키는 주체는 일부에 해당한다는 의견으로, ‘기성세대라고 모두 다 꼰대는 아니며’, ‘MZ세대 중에도 젊은 꼰대가 있다’ 등 개개인에 따라 다르다는 시각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 중 주목할 점은 ‘언론이 세대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는 다섯 번째 토픽이다. 위와 같은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는 세대 공감과 연대를 이루기 위한 미디어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flict between the young (20s~30s) and older (50s~60s) generations, which recently has been frequently reported in the news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nline public's perspective on this conflict by analyzing the comments found on news articles. The collected comment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opics. The first topic was opinions on the younger generation, referred to as the MZ generation, which was perceived as an overly individual, selfish generation that tries only to assert their rights and complains without doing their jobs properly. The second topic was opinions on the older generation, exemplified by “bosses who unilaterally impose their thoughts,” and “bosses who only nag and unnecessarily emphasize gatherings.” The third topic, among the more noteworthy results confirmed by this study, was that the media is promoting generational conflict. The fourth topic was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young and old generations is not a new one and has existed in our society since ancient times, despite the passage of time. Finally, the fifth topic was the opinion that only some members of both generations experience or cause generational conflict, exemplified by “not all members of the older generation are Kkondae,” and “there are young Kkondaes even among the MZ generation.” To reduce generational conflict, it is necessary to find an appropriate way to share and communicate the sociocultural values and lifestyles experienced by each gene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generational conflict highlighted by the news media can be viewed as a problem occurring in some individuals or in the age difference related to the number of years of life. News media have the power to create social discourse and issue specific topics. The names and characteristics of specific generations mentioned in the news are highly likely to serve as a frame of reference for the public to understand them. In particular, it should be noted that excessive generalization of a specific generation can aggravate generational conflict by fixing stereotyped images and attitudes toward that gener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erms of suggesting the role and influence of news comments. As shown in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news audiences actively and honestly express their opinions through comments regardless of the content of the articl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role of the media in achieving generational solida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