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누가 온라인 뉴스에 댓글을 작성하거나 뉴스를 공유하는가?: 통계 학습 방법의 적용 (Who comments on or shares online news stories?: Application of statistical learning methodology)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8.03
47P 미리보기
누가 온라인 뉴스에 댓글을 작성하거나 뉴스를 공유하는가?: 통계 학습 방법의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35권 / 1호 / 5 ~ 51페이지
    · 저자명 : 고문정

    초록

    이 연구는 이용자들의 참여로 만들어지는 온라인 뉴스 문화에 주목하여 뉴스에 댓글을 쓰거나 뉴스를 공유하는 이들이 어떤 사람들인지를 밝히고자 하였 다. 댓글이나 공유된 뉴스는 온라인 뉴스 소비에 영향을 주지만 댓글을 쓰고 뉴스를 공유하는 이들이 누구인지는 공개되어 있지 않다. 이에 ‘어떤 사람들이 온라인 뉴스 이용 문화를 만들고 있는지’를 밝혀 온라인 뉴스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이 연구는 가설에서 출발하지 않고 데이터를 출발 지점으로 삼아 현실과 가장 가까운 대답을 얻으려 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 화된다. 이를 위해 2016년 언론수용자의식조사 데이터를 근거로 로지스틱 회귀분석, 선형/비선형 판별 분석, 의사결정 나무 모형, 랜덤 포레스트, 서포트 벡터 머신을 활용한 통계 학습(statistical learning) 방법을 적용하여 댓글 작성 자와 뉴스 공유자를 예측하는 최적의 모델을 찾았다. 연구 결과,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하면 댓글 작성자와 공유자를 약 99%, 94%의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었다. 예측 과정을 살펴보면, 댓글 작성자와 뉴스 공유자는 거의 일치하였기 때문에 이들을 ‘온라인 뉴스 문화 주도자’와 같은 하나의 집단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이들은 서명운동이나 기부와 같은 사회 참여가 활발하며 정치적으로 중도 또는 진보에 가까울 경우가 많았으며 학력이 높았다. 또한 전국종합신문 뉴스에 대한 신뢰도가 낮을수록 댓글을 작성하거나 뉴스를 공유할 확률이 높았고, 그 중에서도 언론인의 사회적 영향력이나 전문성이 크다고 인식할수록 뉴스를 공유하는 사람일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SNS나 메시징 서비스 이용에 많은 시간을 소비했으며, 그 중에서도 1인 미디어나 팟캐스트 같은 이용자 참여형 뉴미디어 소비가 많다면 댓글 작성자, SNS와 메시징 서비스, 시사잡지 등 다양한 매체에서 적극적으로 뉴스를 소비 한다면 뉴스 공유자일 경우가 많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online news culture created by users’ participation. It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Who leaves comments on online news articles or shares news stories with others?” Commenting on news articles and sharing news stories influence news consumption and society at large, but it is not clear who is leaving the comments and sharing the news.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because it applies statistical learning in order to obtain the closest answer to reality, not by making assumptions but by using real data. This paper proposes an optimal model for predicting comment writers and news sharers by apply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linear/nonlinear discriminant analyses, decision tree models, random forests, and support vector machines. As a result, we could predict the commenters and the sharers with 99% and 94% accuracy, respectively, using random forests. Furthermore,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commenters and news sharers the “leaders of the online news culture” because the groups were identified to be almost identical. They were highly educated, politically liberal or moderate, and active in social activities such as signing campaigns and making donations. In addition, people with a lower amount of trust in national news media tended to write comments and share news, and the more socially influential they regard journalists as being, the more likely they are to share news stories. Finally, the leaders of the online news culture spend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o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messaging services. Particularly, news commenters consume or participate in new independent media such as podcasts or YouTube videos, and news sharers actively read news from various media, including social networking sites, messaging services, and political magazi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