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텍스트마이닝으로 본 대구 이슬람 사원 갈등: 유튜브 댓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aegu Islamic mosque conflict seen through Text Mining : Focusing on YouTube comment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4.03
31P 미리보기
텍스트마이닝으로 본 대구 이슬람 사원 갈등: 유튜브 댓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다문화콘텐츠연구 / 47호 / 7 ~ 37페이지
    · 저자명 : 강진구

    초록

    이 논문은 다룰이만경북이슬라믹센터 건축을 둘러싸고 관련 유튜브 영상중 댓글 수 상위 30개 게시물에 달린 댓글을 텍스트마이닝으로 분석했다.
    분석 대상은 2023년 12월 31일까지 이며, ‘대구 대현동 이슬람사원’을 검색어로 했다.
    수집된 댓글은 한글 자연어 처리 패키지인 KoNLP와 RcppMeCab를 사용하여 전처리와 형태소 분석을 하였고, 빈도 분석, 토픽 분석, 감정 분석, 연결망 분석 등을 실시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수 분석 결과 ‘이슬람’, ‘종교’, ‘무슬림’, ‘나라’, ‘주민’, ‘한국’,‘이슬람사원’, ‘반대’ 등의 어휘가 고빈도로 출현하고 있다. 이들 고빈도 어휘들은 대구 이슬람사원 건축 관련 유튜브 댓글이 주로 이슬람에 대한 혐오와 지역주민의 반대 행위를 이슬람의 전파에 맞선 공정한 저항이란 시각을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토픽 분석 결과 댓글들은 크게 7개의 토픽으로 수렴되고 있다. 주요토픽들은 인종주의에 기반한 이슬람 혐오와 국민 우선성을 주장한 역차별논리 옹호, 이슬람에 대한 공포와 불안감 호소, 선주민의 피해 강조 등이다.
    셋째, 감정 분석의 결과 대부분의 유튜브 댓글은 매우 부정적인 감정을드러낸다. 그리고 부정 감정지수는 대구 관련 댓글보다는 이슬람의 반문명적 행위나 테러 행위를 다루고 있는 영상에 달린 댓글이 훨씬 높다. 이는자국 내의 이슬람갈등보다는 타국의 갈등에 훨씬 강도 높은 감정을 드러내는 것으로써 댓글 작성자의 일종의 자기방어 행위를 엿볼 수 있다.
    넷째,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유튜브에 게시된 댓글은 이슬람과 관련한의미 구성을 ‘참수’, ‘테러’, ‘아이에스’, ‘탈레반’, ‘히잡’, ‘강간’, ‘강요’ 등 부정적인 어휘를 통해 형성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이슬람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 체계를 규명하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다룰이만경북이슬라믹센터 건축을 둘러싸고 선주민과 이주민 사이에 발생한 갈등 상황을 바라보는 한국인들이 이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텍스트마이닝 분석 기법을 활용해 조망하려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고자한다. 추후 연구를 통해 보완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comments of the top 30 YouTube videos relatedto the construction of the Daegu Daehyeon-dong Islamic Center using textmining until December 31, 2023. The collected comments were preprocessedand morphologically analyzed using the Korean natural language processingpackages KoNLP and RcppMeCab. Frequency analysis, topic analysis, sentiment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in the frequency analysis, vocabulary such as “Islam,” “religion,”“Muslim,” “country,” “residents,” “Korea,” “Islamic center,” and “opposition” appeared frequently. These high-frequency terms indicate that the YouTubecomment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Daegu Islamic Center mainlyexpress hatred towards Islam and opposition from local residents, viewingtheir actions as fair resistance against the spread of Islam.
    Second, top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mments converged into 7 majortopics, including Islamophobia based on racial prejudice, advocacy ofdiscrimination based on national priority, fear and anxiety towards Islam,and highlighting the victimization of natives, which align with previous researchfindings.
    Third, sentiment analysis showed that most YouTube comments expressedextremely negative emotions. Moreover, comments on videos dealing withIslamist counterproductive or terrorist acts exhibited much higher negativityindices than those related to the Daegu issue. This suggests a form of self-defensemechanism among commenters, expressing stronger emotions towards conflictsin other countries rather than domestic Islamic conflicts.
    Fourth, semantic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comments on YouTubeconstruct the meaning related to Islam using negative terms such as “beheading,”“terrorism,” “ISIS,” “Taliban,” “hijab,” “rape,” and “coercion.”Despite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elucidating the perceptionof Koreans towards Islam. Nonetheless, it is meaningful in using text mininganalysis to gain insight into how Koreans perceive the conflict between nativesand immigrants surrounding the construction of the Daegu Islamic Center.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and providesupplementary insight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문화콘텐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