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청년들은 왜 인터넷 댓글에 공감하는가? - 정치기사의 온라인 댓글창을 중심으로 (Why Do Korean Youth Emphasize With The Internet Comments? - Focusing on The On-line Comments Board Regarding Politic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8.08
32P 미리보기
한국 청년들은 왜 인터넷 댓글에 공감하는가? - 정치기사의 온라인 댓글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콘텐츠연구 / 13호 / 43 ~ 74페이지
    · 저자명 : 이수민, 장원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청년층이 인터넷 정치 기사와 그에 딸린 댓글들을 어떻게 받아들 이고 있으며 온라인 공간에서 어떻게 공감 감정이 형성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2018 년 수사에 착수한 이른바 ‘드루킹 사건’은 인터넷 댓글창이라는 여론 형성 공간에 지대한 정치적, 사회적 불신과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대중의 분노 이면에는 인터 넷 댓글이 상당한 다수의 개인에 의해 자발적으로 형성된다는 일종의 믿음이 있었 다. 하지만 익명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댓글창에서 댓글을 읽는 독자들이 댓글을 작성하는 사람들이 어떠한 특징을 가졌다고 생각하는 지에 대해 알아본 연구는 다 소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들, 특히 스마트폰 및 정보기기 활 용에 능숙한 한국 청년층 총 열 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해 온라인의 정치 기사의 댓글을 읽고 어떠한 감정을 느끼는 지 파악하였다. 그 결과 한국 청년층은 자신과 의견이 다른 댓글을 확인하는 경우에 이견에 대해 크게 동조하지 않았으나 사안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태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댓 글에 동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한국 청년층은 자신과 의견이 일치하는 댓글에 공감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인터넷 댓글창에서 만들어지는 공감 감정은 탄핵 시위 참석, 갑질 기업에 대한 보이콧 등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와 같은 부분은 공감이 실천적 요소를 갖추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공감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시 되는 이유가 된다.
    주제어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Korean youth recognize internet comments and the feeling ‘empathy’ is structured in online, especially in the online comments board in portal site such as Naver or Daum. In 2018, ‘Druking Scandal’, which the power blogger rigged the popularity of online comments, enraged the public. Because of this conspiracy, people started to disbelieve online comments and bring changes on the internet community. It explicitly shows Korean considered online comments are formed by a myriad of citizens, not from few. The communication in online space is based on anonymity. However, there were few researches tried to illuminate how internet comments readers assume the traits of internet comments’ writer and explain the process of accepting online comments and how it affects individual’s political attitude. Therefore, this research scrutinized how people feel when they look at online comments by interviewing ten Korean youth.
    The result shows that the Korean youth did not think the writer of internet comments is not much different with themselves. Also, they did not agree very much on the objection when they checked comments that disagreed with them, but tend to follow the attitudes on the comments if they were indifferent or uncertain about the issue. In addition, the Korean youth showed their empathy for the comments they agreed with. The online comments also led to actual actions such as attendance at the impeachment rally and boycotting certain companies. This shows that empathy has a practical element and let us know why further research on empathy is necess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