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탄금대 방아타령>의 명칭과 변개양상 (The name and aspect of change about ‘Tangumdae Banga Taryeong’)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0.04
23P 미리보기
&lt;탄금대 방아타령&gt;의 명칭과 변개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28권 / 7 ~ 29페이지
    · 저자명 : 김영진

    초록

    오늘날 ‘탄금대 방아타령’은 충주지방의 민요로, 농요로, 방아노래로 다르게 해설되고 있다. 이러한 혼란은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연한 충북작품 <충북의 농요>가 <탄금대 방아타령>이란 이름으로 대통령상을 받으면서 비롯된 것이다. 탄금대 방아타령이란 말은 <충북의 농요>에서 ‘방아타령’의 자진가락의 이름에 붙인 신조어인데 이를 ‘중원농요’와 ‘방아타령’을 합성한 <충북의 농요>의 이름으로 확대하여 발표하였다.
    <탄금대 방아타령> 중 ‘중원농요’는 중원 마수리에 전승하는 토속민요이다. 그러나 ‘방아타령’은 본시 영동지방의 방아노래를 변개한 것인데 입상 후에 이를 대신할 중원지방의 방아노래를 만들기 위하여 노랫말과 후렴을 지속적으로 변개하면서 향토축제에서 공연하고 있다. 그리고 이 <탄금대 방아타령>을 무형문화재로 신청되었으나 충청북도 문화재위원회에서는 보존가치가 있는 토속민요 ‘마수리농요’만 지정하여 연희작품 <탄금대 방아타령>과 무형문화재 <중원 마수리농요>를 차별화하였다. 그럼에도 불고하고 오늘날 <탄금대 방아타령>을 <중원 마수리농요>의 별칭으로 오해하고 있다.
    더욱이 무형문화재의 가치보다 대통령상 수상작품의 영광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지역이나 주민들은 공연작품으로 자리매김한 <탄금대 방아타령>을 보다 새롭게 하기 위하여 근거없는 ‘고사덕담’을 추가하였다. 그러나 <탄금대 방아타령>의 진실을 모르는 채 외형적 특징만을 주목해 온 학계에서는 이제 연희작품 <탄금대 방아타령>과 토속민요 <중원 마수리농요>를 분명히 차별화하여 논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어초록

    The Tangumdae Banga Taryeong(=TBT) is called as three things in the folk song society of Korea; one is a folk song which has been transmitted in Tangeumdae of Chungju, another is a farming song which has been distributed in the area of Chungju and Jungwon, a third is a woman work song in the TBT when has been sung in the time of pounding rice in a mortar. The reason is that the TBT was derived from the reception of presidential award in 13th National Folk Art Festival in 1972.
    The folk song of Chungbuk is a terms which a ballad in the central districts of Chungbuk is combined with the Banga’s tune. The rapid melody is called as the TBT in the songs of Banga. But, the judging committee made public the TBT a common name of folk song. From then, the TBT has been mixed with the folk song of Tangeumdae in Chungju.
    And the words of a song and the musical refrain in the TBT was altered after the reception of presidential award. The reason has two things; one is a change into the song of Banga in the central districts of Chungbuk province from the song of Banga in the area of Yeongdong, the other is a artificial work of the folk song which has not transmitted in the central area. In the processing of these, a man sings a song which a woman generally sings for a while.
    And the ‘Jungwon’s ballad’ in the TBT was adop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No.5. The artificial song was not adopted. But, the song of Banga is to include into the Masuri’s ballad of Jungwon because of confusion with the TBT.
    Moreover, the residents have thought much of the TBT rather than the Masuri's ballad. And they have sublimated the song into artistic production as changing and manipulating the song for the bringing up as the cultural industry.
    But, the academic circles should examine and study thoroughly the TBT and the Masuri's ballad in the central distri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1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