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乾隆帝의 滿文大藏經 序文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ace to the Manchu Buddhist Can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5.12
33P 미리보기
乾隆帝의 滿文大藏經 序文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76호 / 453 ~ 485페이지
    · 저자명 : 박서연

    초록

    본 논문은 만문대장경의 서문을 통해 만문대장경의 편찬 경위와 목적 및乾隆帝의 불교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만문대장경의 서문은 건륭제가 1790 년(건륭55)에 지은 것으로, 滿文 외에 漢文, 藏文, 蒙文으로도 작성되었다. 만문대장경은 1773년 건륭제의 上諭에서 그 편찬이 지시된 이후 1790년에 이르러 완성되었으며, 1794년에 각인되었다.
    4종 언어의 각 서문은 전체적인 내용은 대체로 동일하지만 약간의 차이도보이는데, 만문 서문에 있는 내용이 한문 서문에는 빠져 있거나, 만문 서문의내용이 티벳어 서문에는 좀 더 상세히 기술되어 있기도 하다. 만문대장경 서문의 저자에 대해서는, 4종 언어의 서문 표지에서 모두 건륭제가 이 서문을지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만문 서문의 표지를 통해 만문대장경의 정식 명칭이 ‘manju hergen i ubaliyambuha amba g‘anjur nomun’(만주어로 번역된 큰 간주르 경)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서문의 말미에는 1790년 2월 초하루에 만문대장경의 서문을 작성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만문대장경 서문에 의하면, 건륭제는 불교의 가르침을 잘 이해하고 있었던것으로 보인다. 그는 第一義諦가 불교의 근본되는 진리이지만 일반 범부들은제일의제로 깨우치기 어렵기 때문에 우선 그들에게 익숙한 禍福의 설을 방편으로 삼아 이끌어서 점차 깊은 경지로 인도한다고 말하였다. 이러한 그의 불교관은 제국 통치의 방법론에도 적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가 한족이나몽골족 각각에 대해 취한 정책들은 이러한 방편도를 적절히 활용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건륭제는 만주어의 사용이 쇠퇴하고 만주족의 정체성이 희박해져가는 시대상황에서, 만주어로 번역된 대장경을 통해 만주족의 정체성을 강화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examine the preface to the Manchu Buddhist Canonü to determine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 sutra was written.üThis paper has two major goals. The first is to establish the reason the Manchu Buddhist Canonü was compiled.üThe second goal is to determine theü Qianlong emperor’s view on Buddhism.
    The Manchu Buddhist Canon was compiled in the Qing Dynasty in 1790. It was composed of sūtras and vinayas. Compilers of the Manchu Buddhist Canon consulted the Chinese, Tibetan and Mongolian tripitakas.
    It was compiled in compliance to an order the Qianlong emperor issued in 1773. It was a huge project. The superintendent-general at that time was Changja Qutuɼtu. Compiling the Manchu version of the Buddhist Canon lasted from 1773 to 1790. The Qianlong emperor then wrote the preface to it on February 1, 1790.
    The subject matter of this paper is based on his preface. The preface was written in four languages: Manchu, Chinese, Mongolian and Tibetan.
    Their content is almost identical, but they differ in length due to linguistic characteristics. I think the Qianlong emperor was quite familiar with Buddhism and knew how to govern and rule such a large country whose population was comprised of four different races. By the late 18th century, many Manchu people rarely spoke their own language, preferring Mandarin Chinese. I believe he had the sutra translated into Manchu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the identity of the Manchu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