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세조대 講論의 시행과 儒臣의 성장 (The Administration of Royal Lectur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nfucian Scholar under King Sejo in early Joseon(1455-1468))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5.02
43P 미리보기
조선 세조대 講論의 시행과 儒臣의 성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57호 / 1 ~ 43페이지
    · 저자명 : 최선혜

    초록

    이 연구는 조선 세조대 유교정치의 상징과도 같은 경사 강론의 시행과 특징을 검토하는데 있다. 지금까지 세조는 쿠데타로 집권하였기에 결코 왕권을 정당화할 수 없었고, 세조의 정책은 ‘反 유교’로 규명되고, 그의 치세는 ‘유교적 정치이념이 퇴색한 시대’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세조야말로 유교이념으로 즉위와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할 절대적인 필요가 있는 군주였다. 세조 치세의 儒臣 역시 유학자로서의 도덕성과 관료로서 벼슬한 명분을 확보해야만 하였다. 이에 세조대 경사 강론의 내용과 의미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세조 역시 경연은 잠시도 폐할 수 없다고 강조하며 매일 열도록 하였다. 그런데 세조는 경연에서 매우 전제적인 왕권의 행사를 옹호하였고, 경연이 경전공부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정국운영방안을 논하는 자리임을 강조하였다. 둘째 세조는 경연을 군주 주도의 친강으로 운영하였다. 친강에서 세조는 참석자를 교육ㆍ평가하는 방식을 취했으며 다루는 책도 대개 세조가 결정하였다. 세조는 조정의 종친과 관료들이 모인 자리에서 친강을 통해 군주의 정국 운영과 치도 방안을 주지하였다. 셋째 강론은 세조가 신진 유신을 적극 양성하는 자리였을 뿐만 아니라, 신진 유신에게도 성장의 자리로 기능하였다. 넷째 점차 세조의 강론은 공론을 개진하는 자리와 거리가 있다는 유신의 불만이 불거져 나왔다. 세조가 유학 이외에 다양한 학문을 두루 익히게 한 조처에 대해서도 유학자는 자신들의 정체성과 자존심을 상하게 한 조처로 받아들였다. 결국 세조대는 성종 이후 조선의 정치가 공론을 중시하는 사대부 중심의 정치로 흘러가고, 그에 따라 유자가 治者로서의 정체성과 구분의식을 갖게 되면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evaluates the salient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Lectures under king Sejo's administration. Current literature has so far suggested that Sejo, being enthroned as a result of a coup, could not legitimize his sovereignty, and that he thus instituted 'a policy of Anti-Confucianism', and that his 'era was one where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had faded'. Yet this appraisal overlooks the ideological reality that Sejo, as a sovereign, desperately needed a Confucian legitimization of his enthronement and rule. By narrowing in on the specific ways in which the Royal Lectures, as a herald of the Confucian Politic, were administered, and their significance, these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Sejo emphatically stated that the Royal Lectures, being initia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ought to be held every single day. Within these Royal Lectures, Sejo importantly supported an absolute monarch's right to exercise his power, and further suggested that the Royal Lectures were not merely a place for scriptural exegesis but a time for discussing the ways in which the body politic ought be ordered.
    Second, Sejo administered a kind of 'Sovereign' Royal Lecture, where he himself would lead the discussion and query the participants of the lecture. These lectures constituted of Sejo instructing and evaluating the participants on material that Sejo himself selected. Whereas previous Royal Lectures had the edification of the sovereign on scholarly matters as its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e 'Sovereign' Royal Lectures under Sejo was the edification of the Court's near-kin royals and officials on the ways in which a sovereign should govern and oversee the body politic.
    Third, Sejo utilized the Sovereign Royal Lectures as a place to actively bring up new Confucian scholars. Sovereign Royal Lectures were an equally important place for Confucian scholars, who had the chance to secure official appointments by or through them.
    Fourth, some Confucian scholars expressed discontent that the Royal Lectures, dominated by Sejo, were far from a place to advance public debate. Further, when Sejo encouraged the studying of scholarly disciplines other than Confucianism, many Confucian scholars took offence, considering it as a blow to their identity and dignity.
    All in all, it can be said that the Sejo era became a target of criticism as the literati(Sadaebu), who placed importance on public debate, became the centre of Joseon's politics after King Seong-jong, and in relation, as the Confucian scholar came to have a distinct identity and consciousness as magistr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