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종대의 북방 개척과 김수연(金壽延) (King Sejong’s Northern Settlement Campaign and Kim Su - y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6.06
35P 미리보기
세종대의 북방 개척과 김수연(金壽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59호 / 189 ~ 223페이지
    · 저자명 : 김만호

    초록

    金壽延(1405~1455)은 羅州 출신 인물로 세종대에 추진되었던 북방 개척에 공을 세웠다. 증조부인 金琢은 조선 開創을 이유로 나주로 낙향했으며, 이후 김해김씨 侍中琢派를 형성하였다. 김수연은 세종 초에 무관으로 관직생활을 하던 중 1434년(세종 16) 9월에 실시된 謁聖試 武科에 응시하여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세종대에 시행된 무과에서는 무예와 강서에 모두 능해야 합격할 수 있었다. 이를 보면 김수연이 문무를 겸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당시 김수연이 받았던 王旨 紅牌는 현재 그의 후손이 보관하고 있는데, 현전하는 조선전기의 왕지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존재만으로도 의미가 있다. 또한 『經國大典』 이전의 관료제나 寶印 등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므로 사료적 가치가 높다.
    김수연은 장원급제 직후 평안도 도안무사 崔潤德의 군관으로 선발되었다. 그는 1435년(세종 17) 1월 2,700여 기병의 여진족이 閭延城을 침략했을 때 이를 잘 방어했다. 또한 김수연은 정예병을 이끌고 적병을 추격하였으며, 매복 작전에도 말려들지 않는 등 성공적으로 작전을 수행했다. 이후 1438년에는 함경도도절제사 金宗瑞의 지원 하에 6진 중의 하나인 慶興 지역을 다스렸다. 또한 1443년 상호군 김수연은 鍾城의 보청포 전투에 참여하여 공을 인정받았다. 이후 김수연은 변방을 책임지는 장수로서의 역할을 역임하다가 1455년 8월 세상을 떠났다. 이에 世祖는 조문을 명하고 賻物을 전달하였다.
    나주 출신 김수연은 문무겸전의 인물로 세종대에 행해진 알성시 무과에 장원으로 급제했다. 합격이후 그는 4군의 여연성과 6진의 경흥ㆍ종성 등지에서 활동을 했다. 이렇듯 김수연은 최윤덕ㆍ김종서와 함께 세종이 적극적으로 시행했던 북방 개척에 일조하였다. 김수연과 같이 4군 6진 개척에 도움을 준 인물들이 더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사례들이 더 보충된다면 세종대의 북방 개척에 대한 실상이 더욱 선명해 질 것이라고 기대한다.

    영어초록

    Kim Su-yeon (1405-1455), who is from Naju, South Jeolla Province, made a contribution of Northern settlement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Kim Tak, a great-grandfather of Kim Su-yeon, retired to the countryside, in Naju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Joseon dynasty. There he began the Sijungtakpa branch of the Gimhae Kim clan. While Kim Su-yeon worked as a military officer in the early part of the reign of King Sejong, he took the alseongsi examination in military science in September 1434 (16th year of the Sejong era). He excelled in military arts and in the classics, finishing in first place, showing his dual capacity in literature and war. The scarlet certification, or hongpae (issued by royal edict to such qualifiers at the time), is still maintained by his descendants today. This material is extremely rare and carries immense significance. It also works as an aid in understanding the Gyeongguk Daejeon (Great Book of State Service), the tasks of old bureaucrats and royal seals and so forth.
    Immediately after passing, Kim was selected to be Choi Yun-deok’s official of the army. In January of 1435 (17th year of Sejong’s reign), 2,700 Jurchen cavalry soldiers invaded Yeoyeon fortress. Kim successfully defended the castle, subsequently led a squad of crack troops and successfully pursuing enemy forces without being caught in any ambushes. In 1438, while working under Kim Jong-seo in the 6 jin (outposts) area, Kim Su-yeon ruled over the Gyeong-heung area. In 1443, High General Kim Su-yeon won acclaim for meritorious deeds in the Battle of Bocheong Riverbanks (Bocheong-po) at Jongseong. In August 1455 (first year of Sejo), while in charge of frontier areas as a commanding general, Kim met his fate.
    As an adept student and capable officer, Kim Su-yeon readily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s, going on to work in the North and Northeast, at the Sagun-Yukjin area(literally, “four counties, six outposts”). Kim, working with Choi Yun-deok and Kim Jong-seo, was instrumental in implementing King Sejong’s plan for the settlement of the North. Further studies of their work and that of other officers and generals bureaucrats are hoped to yield yet more concrete detail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Northern Settlement Campa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