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진흥왕 대 성골의 출현과 그 배경 (Emergence and Background of Seong-gol in the reign of King Jinheung of Silla)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05
35P 미리보기
신라 진흥왕 대 성골의 출현과 그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43권 / 153 ~ 187페이지
    · 저자명 : 성준선

    초록

    이 글은 신라 골품제에서 최상위 신분으로 존재했던 성골이 언제 어떤 배경에서 출현했는지를 검토하여, 성골과 골제 연구에 새로운 시야를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성골이 하나의 신분으로 실재했다는 기본 사실과 다른 신분의 상위에 존재했을 것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신라 중고기 왕권이 강화되던 상황과 관련지어 검토하였다. 성골의 출현 배경을 정치, 사회, 사상의 변화 속에서 살펴보고, 특히 종교적 신성 관념을 이용하여 기존 골제 내에서 다른 귀족들과 차별성을 드러내려 한 것이 성골 관념과 신분의 등장을 야기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불교가 신라 사회에 처음 공인된 법흥왕 대가 성골 출현의 상한선이 될 수 있겠지만, 법흥왕 대는 기존 육부 체제가 무너져간 시기이기는 해도 불교가 막 공인된 시점이라 아직 불교적 신성 관념으로 새로운 신분 관념이 창출되었을 것 같지 않다. 학계에서 폭넓게 지지를 받는 진평왕 대 성립설 역시 마찬가지로, 폐위된 진지왕의 뒤를 이어 국인의 추대로 즉위한 진평왕이 어느 순간 갑자기 불교적 신성 관념을 내세우며 성골이라는 새로운 신분을 만들어냈다고 보는 것은 다소 무리라는 생각이 든다. 불교적 신성 관념은 진평왕 대 처음 나타난 것이 아니고, 그에 앞서 진흥왕 대에 왕권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에 진흥왕 통치 시기에 나타난 불교적 왕자관으로서의 전륜성왕 관념을 주목하여, 이것이 곧 성골 관념으로 이어지고 새로운 신분으로서의 성골 출현을 가져온 직접적 배경이 되었음을 알아보았다.

    영어초록

    In the process of Silla’s development into a centralized aristocratic state, a rigid system of social status called the gol-pum system was forme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Silla society is gol-pum system society, as it is a unique system of status based on ancestry in which people were regulated throughout their daily lives including not only political status but also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the gol-pum system, “Seonggol” was the highest status, and only a few of the royal family occupied. Seonggol is a status derived from the gol-system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Beopheung. King Jinheung, who succeeded King Beopheung, led the rapid development of Silla. King Jinheung promoted Buddhism, strengthened his kingship, and expanded the territory of Silla through active conquest activities.
    Hwangnyongsa was constructed with his ideals and principles of governance. He sanctified his lineage by using the idea of Chakaravartin, the ideal king of Buddhism, and called it the “Seonggol”, emphasizing that he was of divine lineage. Through this process, he wanted to continue his stable succession to the throne in the Jinheung royal family. Prince Donglyun was crowned prince. When Donglyun died, however, King Jinheung called his second son Geumlyun and prepared him to succeed to the next throne. Geumlyun would have appeared around the time of the creation of the Jangyukjonsang, the peak of Chakravartin ritual. Jinheung termed his blood-related group Seonggol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and to ensure a stable succession to the throne. The privilege of the Seonggol, which emerged in this way, was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