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 中宗~宣祖代 輪對制의 변동과 운영 (Jungjong-Sunjo Yundaeje Alteration and Management in Joseon Dynast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2.11
38P 미리보기
朝鮮 中宗~宣祖代 輪對制의 변동과 운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71호 / 169 ~ 206페이지
    · 저자명 : 장희흥

    초록

    윤대는 조선의 행정제도에서 행정 실무자들의 의견을 청취하여 국정에 반영한다는 기본적인 원칙이 적용된다는 것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왕의운영 의지에 따라서 언로 정책이 달라진다.
    윤대제는 조선 세종대 실시되어 조선후기까지 운영되었다. 윤대제를 살펴보는 것은 조선시대 言路제도가 운영적인 면에서 제도의 실시, 확대 혹은 축소를 통한 정책적인 면과 그 속에서 논의된 내용이 당시 정치 전반에 어떻게반영되었는가를 다루는 것이 목적이다.
    중종대는 윤대제가 한 달에 3번으로 고정되는 시기이다. 이 관행은 이후지속되었다. 중종대 윤대제는 勳舊와 士林의 대립이라는 상황에서 정치적인 발언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성격도 변하였다. 중종 4년은 ‘君弱臣强’이 윤대에서 발언된 시기로 조광조 등 사림이 본격적으로 중앙에 진출, 중종의 총애를 받기 시작하였다. 기묘사화가 일어날 때까지 윤대제는 본격적으로 확대되었다. 참여 관청의 확대 논의, 학식 있는 종친에 대한 윤대 참여, 소격서 혁파 건의, 천거된 일반 신하의 윤대 참여, 2품인 특진관의 윤대 참여 등이 논의되었다. 그러나 기묘사화 이후 윤대 횟수와 성격은 축소되었다. 참여자도억지로 참여하는 경향이 늘어났다.
    명종대는 윤대 자체가 정치적 성격을 띄기 시작하였다. 을사사화 당시 윤대에서 택현설(擇賢說)이 논의되는 등 정치적 논쟁이 있었다. 이러한 알력 문제로 윤대제는 명종대는 간헐적으로 실시되다가 1586년(선조 19)에 폐지되었다가 선조 34년에야 다시 시행되었다. 즉, 정치적인 문제로 윤대제가 제대로실시되지 못한 이유가 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윤대는 형식상 존재하는 형태로 변하였다. 윤대는 조선의 행정제도에서 행정 실무자들의 의견을 청취하여국정에 반영한다는 기본적인 원칙이 적용된다는 것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왕의 운영 의지에 따라서 언로 정책이 달라진다.

    영어초록

    The Yundaeje was implemen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continued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yundaeje is to deal with the political aspects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implementation, expansion or reduction of the system, and how the contents discussed in it were reflected in the overall politics of the time.
    Jungjongdae is a period in which the Yoon Daeje system is fixed three times a month. This practice has continued ever since. In the context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Hungu(勳舊) and Sarim(士林), the character of Yun Dae-je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changed as political statements began to appear. The 4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was the time when ‘Gunyak-Singang’('君弱臣强') was spoken in Yundae, and Sarim including Jo Gwang-jo entered the center in earnest and began to receive the favor of King Jungjong. Until Gimyosahwa took place, the Yun Daeje system expanded in earnest. Discussions on expansion of the participating government offices, the participation of educated servants in reincarnation, the suggestion of the reform of Sogyeokseo, the participation of the recommended general subordinates in the reunification, and the participation in the reincarnation of the second class special officers were discussed. However, the number of rotations and the nature of the rotation decreased after the Gimyosahwa. Participants also tended to be forced to participate.
    Myeongjongdae itself began to take on a political character. At the time of Eulsasahwa, there were political debates such as Taekhyeonseol(擇賢說) being discussed in Yundae. Due to this problem, the Yundaeje system was intermittently implemented in Myeongjongdae, but was abolished in 1586(the 19th year of King Seonjo), and was only implemented again in the 34th year of King Seonjo. In other words, it seems to have been the reason why the Yoon Dae system was not properly implemented due to political problems. In the end, the belt changed into a form that exists in form. Yundae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basic principle of listening to and reflecting the opinions of administrative officials in Joseon's administrative system is applied. However, depending on the will of the king, the speaking route system will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