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년대 <인형의 집> 번역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Translation of A Doll's House in 1920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2.06
26P 미리보기
1920년대 &lt;인형의 집&gt; 번역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36호 / 11 ~ 36페이지
    · 저자명 : 김재석

    초록

    1920년대에 입센의 <인형의 집>은 세 번 번역되었다. 1921년에 「매일신보」에 연재된 <인형의 가>(양백화, 박계강), 그리고 1922년의 「노라」(양백화)와 「인형의 가」(이상수)가 그것이다. 그 중에서 「매일신보」본과 이상수본을 비교하여 번역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매일신보」본은 타카야스 겟코(高安月郊)와 시마무라 호게츠(島村抱月)의 일역본과 파쿼손 솨압(Farquharson Sharp)의 영역본을 대조하여 번역의 정확성을 높이려 했다. 번역의 결과를 보면, 「매일신보」본과 이상수본은 시마무라 호게츠의 일역본을 가장 많이 참고하였다. 시마무라 호게츠본은 「분게이쿄카이」(文芸協会)의 공연대본으로 사용된 것이어서 다른 번역본에 비해 공연성이 높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매일신보」본과 이상수본을 비교해보면 번역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매일신보」본은 <인형의 집>을 정확하면서도 상세하게 옮기는 것을 목표하였고, 이상수본은 읽기가 편하면서 재미가 있는 번역을 목표로 하였다. 그 결과 「매일신보」본은 정확히 번역되기는 하였지만 산문적인 대사가 많아 읽기에 불편한 점이 있고, 이상수본은 구어체 대사가 잘 구사되어 있긴 하지만 인물의 성격이 부분적으로 왜곡되는 단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1920년대 「매일신보」와 이상수의 <인형의 집> 번역은 중역이긴 하지만 번역자의 주체적 인식이 나타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양백화와 박계강이 일역본 뿐만 아니라 영역본까지 참고하여 번역을 시도하였다는 점은 일본을 통해 서양 근대극을 접하던 상황에서 벗어나 보려는의식적 노력의 일환으로 높게 평가되어야 한다. 「매일신보」본의 정확한 번역에 대한 의지, 그리고 이상수본의 진전된 구어체 대사 구사력은 1920년대 식민지조선의 번역극이 1910년대에 비해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도약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 하겠다.

    영어초록

    In 1920s, Henrik Ibsen's A Doll's House was translated three times : Inhyungui Ga (translated by Yang, Baekhwa and Park, Kekang) published serially in Maeilsinbo, the newspaper in 1921, Nora (translated by Yang, Baekhwa) in 1922 and Inhyungui Ga (translated by Lee, Sangsoo) in 192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 comparing the Maeilsinbo's Inhyungui Ga in 1921 with Lee, Sangsoo's one in 1922The Maeilsinbo's Inhyungui Ga enhanced the correctness of translation, collating Takayasu Getkou and Simamura Hoketu's translations in Japanese with Farquharson Sharp's one in English. Considering the results of translation, we can see that the Maeilsinbo's Inhyungui Ga and Lee, Sangsoo's one referred to the Simamura Hoketu's translation in Japanese the most. That was because they judged that the Simamura Hoketu's translation had the high quality of performance, compared with others since it had been translated for the performance of Bungeikyoukai.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aeilsinbo's translation and Lee, Sangsoo's one can be revealed clearly through comparing them. Lee, Sangsoo's one aimed at easy reading and interesting translation.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the Maeilsinbo's one was translated correctly but it had difficulty in reading with much prosaic speeches, whereas Lee, Sangsoo's one had the colloquial dialogues easy to read but the personalities of characters were distorted in some parts.
    In 1920s, the Maeilsinbo's Inhyungui Ga and Lee, Sangsoo's one were secondhand translations, but they have significant value in that the translator's sense of the subject appeared in their translated works. Moreover they referred to the translation in English as well as one in Japanese, which should be considered as the their conscious efforts to overcome the situation of those days that they could contact the Western modern drama only through Japanese. The will to translate correctly in Maeilsinbo's translation and more advanced colloquial speeches in Lee, Sangsoo's one can be the evidences showing that the translated dramas in colonized Choson were developed into more high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극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