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수필의 장과 장르의 역학 (A Study on the Field of Essays and Genre Dynamics in the 193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0.08
31P 미리보기
1930년대 수필의 장과 장르의 역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반교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반교어문연구 / 29호 / 33 ~ 63페이지
    · 저자명 : 문혜윤

    초록

    이 논문은 1930년대 수필의 장이 형성되었던 과정을 추적하면서 수필 장르를 둘러싼 역학관계를 고찰하였다. 수필에 대해 지금까지도 유효하게 적용되는 장르 관념은 1930년대에 생성되었으며, 이는 신문과 잡지 등의 매체에서 수필을 싣는 양이 현저하게 늘어났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수필의 장르적 속성 중 하나인 ‘무형식의 형식’은 1930년대의 매체들이 수필을 운용했던 방식, 즉 일정한 주제를 부여하여 글을 쓰게 하는 방식을 통해 한층 강화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편집자가 미리 제시한 주제로 글을 써야 했기에 주제에 적절히 들어맞는 글이 생산될 수밖에 없었는데, 동시에 여러 이유로 주제에 맞추지 못하는 글도 같은 코너에 실렸기 때문에, 낱낱의 글로 발표되었다면 ‘수필’로 포함되지 못했을 글도 ‘수필’에(‘수필’ 이라는 장르 안에) 포함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수필로 분류할 수 있는 글’이기 때문에 ‘수필’이 된 것이 아니라, ‘수필이라는 분류 하에 발표되고 나서 ‘수필’이 된 것’이다. 연하고 물렁한 형식을 가진 수필은 ‘자기 고백’을 장르의 중요한 내용으로 삼는다. 하지만 주제가 미리 제시된다는 점에서 수필에 기술되는 ‘나’는 회상, 공상, 연상 등의 생각의 방식을 통해 가공된 것인 경우가 많았다. 현실(삶)과 밀접하게 소통하지 않는 표피적인 ‘나’를 그리는 수필이 다수 등장함으로써 깊은 사색보다는 얕은 감상에 치우친 글이 수필의 주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렇듯 근대적 수필(근대적 수필의 특성)은 장르 내재적인 원인보다는 매체를 통한 외부적 원인에 의해 조장된 측면이 크다. 해외문학파가 수필의 에세이로의 격상을 주장했던 이면에 소설이 가지는 장르의 우위를 극복하고자 했던 집단의 헤게모니 쟁투가 개입되어 있고, 글쓴이를 성별에 따라 나눈 여류수필 기획이 자주 등장함으로써 여자 문인은 ‘센티멘털리즘’에 호소하는 수필을 쓰는 것이 적합하다는 젠더적 편견을 만들기도 하는 등 수필은 다양한 역학관계에 둘러싸여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ynamic relationships surrounding the essay genre, tracing the process of its field being formed in the 1930s. The genre concept that is still applied to essays with effect today was formed in the 1930s, when the amounts of essays carried by newspapers and magazines exploded. One of the genre attributes of essays, "the form of no form" was further reinforced by the way of operating essays by the media or the way of giving a certain subject to write about in the 1930s. In most cases, they had to write on a subject suggested by the editor, which produced writings fit for the subject. And there were many writings published in the same sec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y were not fit for the given subject due to many different reasons. As a result, writings that would not have been categorized as "essays" if they had been published separately got to belong to the genre of "essays." In other words, they became "essays" not because "they fell into the category of essays" but because "they were first grouped as essays and then called essays." Taking a soft and tender form, essays find the important content of its genre in "self-confessions." However, "I" who was depicted in essays was often processed through such thinking methods as reflection, fantasy, and association since a subject was provided in advance. As many essays started to appear which described superficial "I" who did not conduct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reality(life), those which were inclined toward shallow sentiments rather than deep contemplation made the mainstream of essays. Thus early modern essays(or their characteristics) were in huge parts manipulated by external causes like the media rather than innate ones in the genre. Those literary figures who returned to the nation after studying abroad tried to raise the status of essays to overcome the genre superiority of novels. Along with that hegemony struggle among groups, female essay plans were often made which distinguished writers according to gender. As a result, a gender-based prejudice emerged that believed female writers would be better fit to write essays appealing to "sentimentalism." In short, essays were surrounded by such diverse dynamic relationshi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교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