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법원의 책임 판단과 책임 ‘귀속’의 기준 (Supreme Court's judgment of criminal responsibility and Criteria for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3.03
55P 미리보기
대법원의 책임 판단과 책임 ‘귀속’의 기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법연구 / 35권 / 1호 / 3 ~ 57페이지
    · 저자명 : 김성돈

    초록

    형법상 책임 판단은 행위자의 불법행위를 대상으로 삼는다. 따라서 이 판단에는‘법규범’이 더 이상 판단의 기준이 될 수 없다. 이 때문에 형법상 책임론에서는 책임은 비난가능성이라는 규범적 책임개념하에서 무엇을 근거로 삼아 그리고 어떤 기준에 따라 책임비난을 인정할 것인지의 문제에 오랫동안 골머리를 앓아 왔다. 전통적으로는 인간의 의사자유를 긍정하는 비결정론적 시각에 뿌리를 둔 입장이 지배적인 견해로 인정되었고, 이에 따라 타행위가능성이 책임비난의 근거 및 기준으로 되었다.
    이러한 견해는 동시에 형벌의 본질을 책임상쇄적 응보에서 파악하기 때문에 형벌의전제조건이 되는 책임 인정에 예방적 형벌목적적 관점의 개입을 철저하게 차단하는태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1970년 이래 책임판단에서 예방적 형벌목적을 고려하려는 태도가 전통적인책임이론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책임과 예방의 관계에 관한 논쟁을 촉발시킨 새로운시각은 책임과 예방을 절연된 관계로 보는 전통적 책임이론과는 달리 양자 사이에직접적 가교가 있어야 한다는 논지를 전개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책임개념의 예방목적 ‘종속성’을 인정하는 정도에서 차이를 보이는 두 가지 이론 갈래로 나누어졌고 그에 따라 책임개념도 다르게 파악되었지만(즉 예방적 책임컨셉/기능적 책임컨셉), 형벌부과 이전의 도그마틱적 심사단계에서 의사자유에 뿌리를 두고 있는 형이상학적책임컨셉과 결별하고 예방적 형벌목적이라는 실질적 기준을 책임판단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의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글은 한국의 대법원이 책임조각사유에 관한 형법규정의 해석 및 적용에 있어 이러한 예방적/기능적 책임컨셉을 수용하고 있는지, 있다면 어느 정도로 수용하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그러나 이 글은 책임조각사유에 관한 대법원 판결 전부가 아니라형법 제10조 제1항 및 제2항 적용과 관련한 판결들만 대상으로 삼았다. 다양한 판결들을 관찰한 결과 대법원은 형법 제10조를 해석하고 적용함에 있어 이원적 혼합방식에 기초한 입법모델과 배치되는 독자적인 용어를 사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로인해 책임의 유무 및 정도의 문제를 판단하는 일에 몇 가지 불필요한 오해가 유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책임판단과 관련한 법관의 태도와 사고방식에도 영향을 미치고있음이 관찰되었다.
    심신장애의 유무와 정도 판단에서 전통적인 책임이론과 같이 ‘일반화된 타행위가능성’을 책임판단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대법원 판결도 눈에띄었다. 하지만 이 기준은 명목상의 기준일 뿐 실제로는 ‘형벌목적적 관점’이 책임판단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와 맥락을 같이 하여대법원도 전통적 책임이론과 같이 책임과 예방적 형벌목적을 더 이상 독립적 관계로인정하지 않으려는 책임이론의 변화를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여지도 생겼다.
    형법학은 바로 이 지점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할 것인지에 관한 고민을 시작해야 한다. 책임이 처벌의 필요성이나 규범의 타당성 유지라는 일반적 예방적 형벌목적에‘종속’되기만 하고, 통제되지 않은 책임‘귀속’이 전면화된다면 책임의 형벌근거기능과형벌제한기능의 마비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를 막기 위해 형법학은 한편으로는 책임판단에서 대법원이 은폐하고 있는 실질적 이유를 들추어내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정당화될 수 있는 책임‘귀속’을 위한 ‘규칙’ 내지 ‘기준’의 개발에도 힘써야 한다.

    영어초록

    Responsibility evaluation under the Criminal Law targets illegal acts, therefore the 'legal norm' is no longer a criterion for this evaluation. For this reason, in the theory of criminal responsibility, the issue of what to base and what standard to admit blame for responsibility has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under the normative concept of responsibility. Traditionally, a position rooted in an indeterministic view that affirms human freedom of will has been recognized as the dominant view. a result, the possibility of other acts was recognized as a basis for accusation of responsibility and a dogmatic criterion. At the same time, this view maintains an attitude of thoroughly blocking the intervening of the viewpoint of the preventive punishment purpose in the judgment of responsibility, which is a prerequisite for punishment, because punishment has the essence of retribution to offset responsibility.
    However, since the 1970s, the attitude to consider preventive punishment purposes in liability judgments has challenged the traditional liability theory. The new perspective that sparked the deb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onsibility and prevention developed the claim that there is or should be a direct bridge between the two, unlike the traditional responsibility theory, which sees responsibility and prevention as an insulated relationship.
    This argument is divided into two theories that diff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dependency of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on preventive purposes, and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is also grasped differently (ie, concept of preventive responsibility and concept of functional responsibility), but in the dogmatic examination stage before the imposition of punishment. It has a common recognition base in that it should break away from the metaphysical concept of responsibility rooted in freedom of speech and take the practical standard of preventive punishment as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responsibility.
    This paper explores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 Korean Supreme Court accepts this preventive/functional responsibility concept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criminal law provisions. However, this article did not target all of the Supreme Court judgments on the grounds for severance of responsibility, but the judgment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Article 10, Paragraphs 1 and 2 of the Criminal Act. As a result of observing various rulings, the Supreme Court, in interpreting and applying Article 10 of the Criminal Act, uses an independent term that contradicts the legislative model based on a dual-mixed method, causing several unnecessary misunderstandings in determining the existence and degree of responsibility. It has been confirmed that not only does it cause the judgment of responsibility, but it also affects the attitude and way of thinking of the judges related to the judgment of responsibility.
    The Supreme Court seems to be using generalized possibility of other acts as a criterion for judging responsibility, such as the traditional liability theory, in some decisions, but these criterion is only a nominal criterion, and in reality, 'punishment purpose point of view' is used as a criterion for judging responsibility. use was also observed. In particular, with these observations, there is room for evaluation that the Supreme Court is accepting the change in the theory of responsibility that no longer recognizes responsibility and the purpose of preventive punishment as an independent relationship like the traditional theory of responsibility. At this point, I looked around what role criminal law should play. This is because, in order to ensure that responsibility is not completely subordinated to the preventive punishment purpose of the necessity of punishment and recognized, it is because the task of ensuring that the function of the basis for punishment and the function of limiting punishment of responsibility is not completely faded is performed.
    To this end, academic research of criminal law should, on the one hand, uncover the practical reasons that the Supreme Court is concealing in the judgment of responsibility, and on the other hand, strive to develop attribution 'rules' for justifiable 'attribution' of criminal responsi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사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