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위논문의 표절 관련 대법원 판결에 대한 비판적 고찰 -대법원 2016. 10. 27. 선고 2015다5170 판결을 중심으로- (A Critical Study on the Supreme Court Case relating to Plagiarism of Doctoral Thesi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8.12
30P 미리보기
학위논문의 표절 관련 대법원 판결에 대한 비판적 고찰 -대법원 2016. 10. 27. 선고 2015다5170 판결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25권 / 3호 / 79 ~ 108페이지
    · 저자명 : 한지영

    초록

    본 연구는 학위논문의 표절에 관한 최근 대법원 판결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한연구이다. 표절은 타인의 저작물, 발췌문, 아이디어 등을 몰래 가져다가 자신의 창작물인 것처럼 사용하는 행위를 말하며, 따라서 일종의 타인의 저작물이나 아이디어의 도적 행위이다. 표절은 법률 용어는 아니지만, 자주 소송에 등장한다. 최근 대법원의 표절에 관한 판결은 표절에 관한 랜드마크(landmark)라고 평가받을 정도로 표절에 관한 쟁점을 구체적으로 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사건 판결은 내용적 또는 판시의 용어가 명확하지 않고 애매모호하여 또 다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법원은 판결문을 작성할 때 출처표시를 잘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 사건 판결에서도 이와 같이 구체적인 출처표시를 하고 있지 않으며, 이는 법원의 잘못된 관행이라고 생각한다. 법원도 출처표시에 있어서 예외일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한편, 이사건 판결에서는 표절에 관한 법적 분쟁이 발생한 경우에 최종 판단 주체를 법원이라고 명시적으로 밝히고 있는데, 이러한 점에서 법원 판결의 실효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법원이 표절이라고 최종 판결한 경우에 학위수여기관이 판결의 효력에기속되어 학위수여를 법적으로 취소해야 하는지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법원의 대상판결을 비판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영어초록

    The study on a critical study on the Supreme Court case relating to plagiarism of doctoral thesis. Plagiarism means the act of appropriating the literary composition of another author, or excerpts, ideas, or passages therefrom, and passing the material off as one's own creation. Therefore, plagiarism is theft of another person's writings or ideas. Plagiarism is not a legal term, however, is often used in lawsuits. The recent case of the Korea Supreme Court (2015 Da 5170) ruled various issues concerning plagiarism so that it may be evaluated as ‘landmark’ on plagiarism. However, this case has unclear and vague expressions which may bring another problems. In addition, the Korean courts have a great tendency not to indicate the source as they make out the sentencing. This is a wrongful practice of the courts, and the courts cannot be exceptional in terms of indicating the source. In fact, this case mentions that the final subject to decide on plagiarism is the court, when a lawsuit as to plagiarism is filed;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judgement of the court should be discussed in this regard. Because an institute or a university to grant a degree does not have a duty to cancel the degree according to the judgement of the court, even though the court has finally decided that a doctoral thesis has plagiarized another person's writing or his precedent writing.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is case from various viewpoi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