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五臺山西臺水精菴重創記」에 관한 내용분석과 의미 - 信仰體系의 변화와 于筒水를 중심으로 - (Contents Analysis and Significance of - Focusing on Change of Faith System and Utongsu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1.12
38P 미리보기
「五臺山西臺水精菴重創記」에 관한 내용분석과 의미 - 信仰體系의 변화와 于筒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30호 / 473 ~ 510페이지
    · 저자명 : 염중섭

    초록

    陽村 權近의 「記文」은 고려 말 五臺山의 信仰體系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여말선초의 한양 천도 이후 한강의 시원 비정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헌이다.
    오대산의 신앙체계는 慈藏의 文殊信仰에서 비롯되어 寶川의 종교체험에 의해 五臺信仰으로 변모한다. 그러나 고려의 어느 시점에 오게 되면 月精寺가 寶川의 華藏寺를 압도하는 總本寺가 되면서 五臺의 개별적인 특성에 의한 오대신앙의 총체적인 측면은 변모하게 된다.
    「記文」에 나타나 보이는 水精菴의 신앙체계는, 보천에 의해서 확립된 阿彌陀를 중심으로 하는 大勢至信仰이 고려 말에 이르면, 아미타를 중심으로 하는 淨土信仰의 일반론으로 바뀌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준다. 이는 오대의 각기 다른 차별적인 신앙체계가 「記文」이 작성되기 이전에 이미 붕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記文」의 이해를 통해서 우리는 오대산의 신앙체계 변화에 대한 하한선을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오대산 신앙체계의 변화에 대한 보다 분명한 입각점을 수립해 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한강의 시원과 관련해서는 「記文」의 분석을 통해 우리는 于筒水의 명칭과 관련된 문제들을 정리해 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 부분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우통수가 수정암의 샘을 지칭하는 국집된 표현이 아니라, 五臺川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점을 인지해 볼 수가 있다. 또한 이와 연관하여 오대천의 중심적인 상징은 金剛淵에 있다는 정리가 가능하게 된다.

    영어초록

    <Jungchanggi> written by Yangchon Gwon Geun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the clue about the faith system of Odaesan in late Goryeo and exerted a huge influence in determining the origin of the Han River after moving the capital to Hanyang in early Joseon.
    The faith system of Odaesan started from Jajang's Munsu faith and changed into Odae faith by Bocheon's religious experience. But, after Woljeongsa became the head temple of Buddhism overwhelming Bocheon's Hwajangsa at a certain point of Goryeo Age, the overall aspect of Odae faith by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Odae came to change.
    The faith system of Sujeong-am in <Jungchanggi> shows that Mahā-sthāma-prāpta faith centering on Amita established by Bocheon was changed to general Pure-land faith centering on Amita in late Goryeo. It means that each particular faith system of Odae was already collapsed before <Jungchanggi> was written. That is, we can recognize the lower limit for the change of Odaesa faith system and establish a clearer standpoint about the change of Odaesan faith system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Jungchanggi>.
    Next, for the origin of Han River, we can also settle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title of Utongsu through the analysis of <Jungchanggi>. And, in the process to solve this part, it turned out that Utongsu was not an expression of narrow sense designating the spring of Sujeong-am but designating the whole Odaesan. In relation with this, it became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central symbol of Odaecheon lied in Geumgangy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