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漢代 ‘境界空間’으로서 敦煌의 性格 (The Character of Dun Huang[敦煌], the Border Space in Han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0.06
30P 미리보기
漢代 ‘境界空間’으로서 敦煌의 性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15호 / 1 ~ 30페이지
    · 저자명 : 권민균

    초록

    돈황지역은 漢이 郡縣을 설치하기 이전에 月氏, 강, 흉노 등 이민족이 거주한 지역이었다. 한이 지배하면서 많은 한인이 이곳에 옮겨와 살게 되었다. 이후 漢은 敦煌과 그 이서지역에 郡縣 혹은 屯田, 郵ㆍ驛ㆍ置 등을 설치하여 漢의 문서 행정력이 미치는 공간으로 포괄하고자 했고, 이를 통해 내지의 통치시스템이 이 지역에서도 구현되기를 바랐다. 그러나 漢의 이러한 바람과는 달리 漢이 통제력 정도를 높일 수록 통제에 대한 저항이 상존했다. 屯田을 설치하여 지배력을 높이려 했지만 현지인의 반발만 불러 일으켰을 뿐이다. 게다가 현지인이 사는 곳에 漢의 죄수를 이주시키는 데 대한 반발도 상당히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過所의 통행도 엄격히 통제된 것 같지 않다. 통행증이 필요한 관소에서는 기본적으로 정해진 문서를 처리하고 전달하는 업무와 서역이 바친 봉헌물을 점검하는 업무 외에 출입에 필요한 엄격한 심사를 진행한 사례가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대신 西域 使者에 대해서는 漢 관리에게 동행하게 하였고, 使者와 동행하는 인물에 대해서도 ‘貴人’으로 기록했을 뿐 어떠한 목적으로 漢에 입경하는지 기록이 없어, ‘貴人’이 어떤 목적으로 입경한 것인지 알기 어렵다. 대신 이들인 반입하는 물건 즉, 낙타나 말 따위에 대해서는 철저히 점검하고 관리 한 것으로 보인다. 말과 낙타의 이름과 키, 나이를 기록했고, 어떠한 질병이 있는지도 검사했다. 만약 이들 봉헌물이 사망하기라도 하면 사망 원인을 따지기 위해 여러 사람이 입회하여 사망진단을 내리기도 했다. 이처럼 이 지역에서 발견된 出土資料에 따르면 돈황 지역은 漢이 專有하고자 했지만 전유할 수 있는 공간이 아니었다. 現地人과 西域人 그리고 漢人이 거주하고 왕래한 共有의 공간이었다. 烏孫ㆍ莎車ㆍ康居 등 서역 여러 나라의 사신과 상인이 文書와 異物을 가지고 왕래했고, 이전부터 이 지역을 삶의 터전으로 삼았던 羌人의 경우 漢의 군현으로 예속된 이후에도 敦煌에 그대로 정착해 거주했다. 漢은 名籍을 구비하여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漢 변군지배 하에서 敦煌지역은 정세적으로 늘 불안하기는 했지만, 한에 의해 폐쇄되어 통제되던 공간이라기보다는 漢 지배 하에서 상당히 이완되고 낮은 수준의 통제력이 행사되던 지역으로 볼 수밖에 없다.

    영어초록

    The Dunhwang area was inhabited by immigrants such as YueZhi, Jiangs, and Hun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prefectures and counties. Later, the empire came to rule, and many people moved to live here. The Han Dynasty wanted to establish a prefectures and counties in the western part of the country and encompass it as a place for administrative power, and hoped that the internal governance system would be implemented in this region as well. However, contrary to the wishes of the Han Dynasty, resistance to control existed as the province increased its control. Although the area was always unstable under the control of the Han Dynasty, it was seen as an area where considerable relaxation and low-level control were exercised under the control of the Han rather than a space closed and controlled by the H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