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대 아프리카 진출 현황 및 시사점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Chinese entry into Afric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9.06
30P 미리보기
중국의 대 아프리카 진출 현황 및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프리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아프리카 학회지 / 56권 / 1호 / 267 ~ 296페이지
    · 저자명 : 임정혜

    초록

    중국의 대 아프리카 진출은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위협인가 아니면 기회인가? 이 질문은 서방국가들의 끊임없는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리고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중국형 모델이 중국에 적용될 수 없으며 자신들의 필요에 맞는 독자적인 개발 전략을 만들어가야 한다는데 입을 모은다.
    중국은 <상호존중>과 <윈-윈>이라는 경제적, 전략적 파트너십을 주장하지만 서방의 전문가들은 특히 두 대륙 간의 무역 불균형 때문에 중-아프리카 관계를 상호 이익이 되는 협력관계라고 보는 데는 회의적이다. 게다가 중국의 원조는 원자재와 석유를 수출하는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에 집중되어 있다.
    그렇다고 아프리카 대륙에서의 중국의 행보가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아프리카 50여개의 국가들이 중국의 원조와 투자의 혜택을 입고 있다. 중국은 아프리카의 재정적, 물질적 원조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대륙 내 인프라 구축은 물론 통신기술 현대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아프리카에 진출해 있는 대표적인 중국의 기업들로는 ZTE와 화웨이를 꼽을 수 있는데, 이 두 기업은 이미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상징적인 존재로 자리를 잡았다. 또한 중국 휴대폰 제조업체 트랜션 (Transsion)은 삼성을 제치고 아프리카 대륙에서 스마트폰과 피처폰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오늘날 프랑스아프리크(Françafrique)라는 명칭보다 차이나아프리카(Chinafrica)라는 명칭을 더 자주 접하게 되는 것이 어쩌면 당연한 귀결처럼 보인다.

    영어초록

    Does Chinese entry in Africa consist a threat or opportunity for African countries? An issue that provokes heated debate especially in the Western community. And most scholars agree that the Chinese model is difficult to transpose in Africa and that it is important for Africa to choose its own development path according to its own needs.
    Despite the "mutual respect" and "win-win" economic and strategic partnership that the Chinese authorities claim, it would be difficult for Western scholars to view Sino-African relations as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The proof is that African exports are made up of 79% oil and minerals, while China exports 90% of manufactured goods to Africa.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China's aid to Africa is concentrated mainly in a few countries exporting raw materials and oil.
    But we must not deny the benefits that China brings to African countries. Nearly fifty African countries are beneficiaries of Chinese aid and investment. China not only provides financial and material assistance to African countries but also participates in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not to mention its contribution to the modernization of computers in countries in Africa. As Africa is an emerging continent,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The two Chinese companies ZTE and Huawei are very good examples. They have become a symbol of the Chinese presence in Africa. And Transsion, a China-based phone manufacturer, has outpaced Samsung and is dominating the African market. Maybe it is natural that we hear more about Chinafrica instead of «Françafriq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아프리카 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