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시대 근대 '국민' 개념 형성과정 연구 (Formation of the Concept of a Modern “Nation”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1.04
51P 미리보기
일제시대 근대 '국민' 개념 형성과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정부학연구 / 17권 / 1호 / 57 ~ 107페이지
    · 저자명 : 한승연

    초록

    이 논문에서는 구한말 서구에서 도입된 근대 ‘국민’ 개념이 일제시대에 어떤 용어들로 불렸는지 개념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전통적으로 ‘국민’과 ‘국인’ 또는 ‘君’, ‘臣’, ‘民’으로 구분되어 있던 국민 개념은 구한말에 서구의 근대 국민 개념이 도입된 이후 ‘국민’, ‘인민’, ‘신민’ 등으로 수렴되었다. 일제시대에 국민을 지칭하는 공식 용어는 ‘신민’이었으나, 정치나 행정 현실에서는 ‘국민’, ‘민중’, ‘관민’, ‘동포’, ‘일반’, ‘인민’, ‘민’ 등 근대적인 용어와 전통적인 용어들이 혼재되어 사용되었다. 같은 ‘국민’이라는 기표 안에서도 시기별로 통치의 목적에 따라 그 기의가 상당히 다른 용어들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곧 일제 강점 초기에는 민족감정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대체로 중립적인 ‘인민’과 ‘국민’으로 부르다가, 3․1운동이라는 민중운동을 당하자 한국 민중을 달래고 관민의 일치협력을 유도하기 위해 ‘민중’과 ‘관민’을 강조하였다. 다시 전쟁의 확대로 고도 국방국가체제가 형성되자 소위 ‘천황폐하’ 아래 1억 국민의 절대복종을 끌어내기 위해 ‘국민’과 ‘관민’, ‘황국신민’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그 용어가 무엇이든 일제시대 국민 개념은 군주를 제외한 나머지 국민만을 의미했기 때문에, 모두가 평등한 일체적인 ‘국민’ 개념은 형성될 수 없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s and terms for “nation” that were introduced from the West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During this time, the concepts for “nation,” which had been traditionally categorized as the nation(國民) or the people of the state (國人 or “Gun” (君), “Shin” (臣), “Min” (民) in Korean), were changed to “the nation” (“Kook-min”), “the people” (“In-min”), “the subjects” (“Shin-min”), et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official term used to refer to the “nation” was “the subjects” (“Shin-min”), while usage of the modern terms, including nation, the masses, officials and people (官民), compatriots, the general public, the people and people (民), became mixed with the traditional terms in political or administrative situation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country’s ruling authority, different terms were used together with the general term “the nation.” For instance, during the early years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neutral sounding “the people” or “the nation” was used so as not to stir the national spirit of the Korean people. Following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began using “the masses” and “officials and people” more often to assuage public sentiment and to promot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Later, when Japan became a military state in the 1930s amid expanding wars, the government frequently used such terms as “the nation,” “officials and people” and “subjects of the Empire of Japan” (皇國臣民) in order to demand the absolute obedience of the Korean people to the Japanese emperor. Regardless of the terms used, however, the concepts of nation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referred to those other than the emperor, and a concept indicating that everyone shared an equal status was not cre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