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몽고 침입과 부인사 대장경의 소실 (The Invasion of Mongol and the Loss of the Tripitaka at Buin Buddhist Templ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0.04
29P 미리보기
몽고 침입과 부인사 대장경의 소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중세사연구 / 28호 / 173 ~ 201페이지
    · 저자명 : 윤용혁

    초록

    본고는 11세기 초 주로 거란의 침입 기간 중 조성되어 대구 부인사에 소장되어 있던 고려 초조대장경에 대하여 특히 그 소실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본고에서 정리한 주요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조대장경의 판각 동기에 현종의 개인적 기원이나 부모의 명복을 비는 기원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은 인정되지만, 거란의 침입을 배경으로 고조된 위기의식을 불력에 의하여 극복하려는 의도가 개재되어 있었음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초조대장경 조성이 갖는 호국적 의미는 팔만대장경의 발원문에 의하여 분명히 확인된 사항이다.
    둘째, 개경에 있던 초조대장경이 언제 어떤 이유로 부인사에 옮겨진 것인지는 확인할 길이 없으나, 1216년 이후 수년간 지속된 거란족의 침입에 위협을 느낀 결과였다고 생각된다. 이때 개경이 직접적 병화의 위협에 놓여졌고, 거란족에 의하여 보현사를 비롯하여 많은 사찰과 불교문화재가 소실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1219년 강동성의 싸움을 계기로 이 전투가 종식되었으므로, 대장경의 부인사 이전은 소실되기 10년 전, 대략 1220년 경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셋째, 초조대장경의 소실은 1232년 몽고의 제2차 침입군에 의한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당시 몽고군이 경상도에 들어온 기록이 없다는 점에서 그 시기를 의심하거나, 초조대장경이 몽고군이 아닌 고려인에 의하여 태워졌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으나 이 같은 주장은 몽고군에 의한 소실이라는 기왕의 지식을 부정할 만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Goryeo’s earliest Tripitaka-especially focusing on the issue of the Tripitaka’s loss-which was formed during the invasion of the Kitan in the early 11th century and possessed by Buin Buddhist Temple in Palgong Mountain in Daegu.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main facts derived from the study.
    First, it is admitted that the motivation of engraving the earliest Tripitaka may possibly include King Hyonjong’s personal wishes or prayers for the repose of his parents’ souls;however, it cannot be denied that it contained an intension to overcome the awareness of crisis prevailing due to the invasion of the Kitan by the force of Buddhism. The patriotic meaning that the formation of the earliest Tripitaka has is a fact clearly verified by the wishing article of the Tripitaka Koreana.
    Second, although there is no way to find out how and for what reason the earliest Tripitaka was moved from Kaekyong to Buin Buddhist Temple, it is believed it was due to the threat felt by the invasion of the Kitan which continued on for many years from 1216. At this time, Kaekyong, the capital city, was being directly threatened by fire in battles and had faced loss of many Buddhist temples including Bohyon Buddhist Temple and Buddhist cultural assets caused by the invasion of the Kitan. Since this battle was terminated, in 1219, because of the Kangdongsung battle, it is estimated that it was around 1220 that the Tripitaka was moved to Buin Buddhist Temple which was ten years before it was lost.
    Third, it was re-verified that the loss of the earliest Tripitaka was caused by the second invading army of Mongol in 1232. The exact period was doubted, however, because there was no record written that the Mongol army had entered Kyongsang Province at its second invasion and it was insisted that the earliest Tripitaka was not burned by the Mongol army but the Goryeo people. Yet such opinion is a suggestion that lacks its logical grounds and is not persuasive enough to be able to deny the existing fact that the loss was made by the Mongol arm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중세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