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閔愼 代服 사건의 쟁점과 의미 (The Min Shin Controversy : Points and Mean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5.04
28P 미리보기
閔愼 代服 사건의 쟁점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23호 / 55 ~ 82페이지
    · 저자명 : 이정민

    초록

    본 논문은 17세기 후반 ‘閔愼 代服’ 사건에 대한 검토를 통해, 당시 조선사회의 禮 인식 양상을 살펴보려 하였다. 병세가 심각했던 부친을 대신해 손자인 민신이 상복을 입었던 이른바 ‘민신대복’ 사건은, 특수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變禮’로 시행됐지만, 생존해 있는 아버지의 존재를 부정했다는 것이 논란이 되어 禮訟 정국 속에서 국가적 쟁점으로 비화하게 된다. 전례를 둘러싼 시비 논쟁이 왕실을 벗어나 사대부가문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대복을 지지했던 宋時烈(1607~1689)과 朴世采(1631~1695)의 견해가 다수의 지지를 얻지 못했던 ‘특이한’ 상황을 통해, 당시 학계의 정서적 지형을 살펴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민신대복’ 사건을 ‘예송’의 일종으로 간주하고, 송시열과 박세채, 尹鑴(1617~1680)와 許穆(1595~1682) 등의 견해가 ‘宗統’과 ‘孝’, ‘親親’과 ‘尊尊’ 등을 둘러싸고 어떻게 갈렸는지를 검토하였다. 송시열과 박세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인 宗法과 宗統 수호가 그 무엇보다도 우선한다고 보았고, ‘친친’의 개념이 ‘존존’의 개념에 귀속되니 ‘존존’을 통해서도 ‘친친’을 포괄할 수 있다는 입장을 개진, ‘종통’을 지킨 민신의 대복 행위를 지지하였다. 반면 윤휴와 허목 등의 남인을 비롯, 전반적 여론은 부자간에 ‘효’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친친을 실천하는 주체’와 ‘존존을 실천하는 주체’가 서로 엄격히 분리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러한 입장에서 그들은 민신을 ‘아버지를 부정하고 그 지위를 빼앗은 불효자’이자 ‘존존의 영역에서 허용될 행위’를 ‘친친의 영역에서 함부로 자임’한 ‘패륜아’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입장이 대세를 이루는 와중에 송시열과 박세채의 입장은 다소 ‘급진적’인 소수 견해로 몰렸음이 흥미롭다. 당시 조선사회에, ‘종통’과 관련한 왕실의 전례가 사대부가의 영역으로 확장될 여건이 아직 충분히 마련돼 있지 않았을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controversy that was launched by a ‘misguided’ decision to ‘stand in(‘代服’)’ as the main mourner for the death of a grandfather, made by an individual named Min Shin(閔愼) in the late 17th century. Discussions and debates that went on for decades since this incident first took place, represent a whole spectrum of various stances assumed by Joseon thinkers, regardless of their parties, on the issue of “protocols(禮).” As his father was very ill, Min Shin decided to act in the role of ‘main mourner,’ a status that in ordinary circumstances was to be filled by his father. The situation that called for such decision was pretty much extra-ordinary, but it was clearly an ‘unusual resolution’(“‘變禮”) in the eyes of the public nonetheless. Many people were surprised and shocked, even to the extent of being enraged. Primary criticism was centered upon the notion that Min Shin arbitrarily denied his father’s own rights. At the time, there has been a philosophical and political debate going on inside the government that was concerned about the mourning period that should be observed ‘for and by’ royal family members. We now call these debates as “Protocol Suits(禮訟)” as it filled the government with heated arguments, and such environment elevated the Min Shin controversy to a whole new level. The incident actually expanded the national debate, which had originally only concerned itself with royal family figures, to ordinary elite level households of governmental officials. Interestingly enough, the most prominent figures in the Westerners party, and who consciously recommended the ‘standing in’ option to Min Shin, such as Song Shi-yeol(宋時烈, 1607~1689) and Park Se-che(朴世采, 1631~1695), turned out to be not on the side of the majority, as we can see from the fact that they came under heavy fire by scholars and philosophers all around the country.
    Primarily analyzed in this article is how opinions and stances differed between various thinkers such as Song & Park and Yun Hyu & Heo Mok, over issues like “Securing the succession line(宗統)” or “preserving filial piety(孝) and fulfilling a child’s obligation to its parents.” And it is duly noted that they had more fundamental concerns as well. Some were determined to uphold important notions like “Maintaining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closest relatives(‘Chinchin, 親親’),” which was in other words a directive to endear oneself with one’s parents, while others were obsessed with the principle of “Serving one’s duty for the Elders(‘Jonjon, 尊尊’),” which was essentially to respect the ancestors above the parents-level, starting with grandparents.
    Song Shi-yeol and Park Se-che were adamant that the clan law(宗法) and succession line(宗統), which were the founding bases of state and society, should be preserved and protected at all costs. In their eyes, ‘Chinchin’ was a concept that could be dealt with in the realm of ‘Jonjon,’ so they reasoned that Min Shin’s choice was the right one as he ultimately upheld the directive of ‘Jonjon,’ while not in any way abandoning ‘Chinchin.’ On the other hand, Southerners like Yun Hyu and Heo Mok, and many others throughout the society, argued that ‘Chinchin,’ one’s obligation to the parents, should be an individual’s highest priority, and ‘Jonjon’ should be pursued by the royal family which governs the country while ‘Chinchin’ be so by people in the private sector. With such view, they condemned Min Shin’s actions as an act of ‘denying the very existence of his own father’ and even ‘depriving his father of his rightful status as the dead one’s son.’ In their eyes, Min Shin was a rogue who dared acting on a principle that he was not entitled to observe.
    Song and Park’s opinion ended up being in the minority, one which not that many others could concur. We can see that the Joseon society was not that much ready to embrace a rule that could be applied to not only the royal family but also formidable (but private) families throughout the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