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정조대 무과(武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stity for the late Joseon Martial tria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6.12
18P 미리보기
조선후기 정조대 무과(武科)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65호 / 221 ~ 238페이지
    · 저자명 : 윤대중

    초록

    이 연구는 조선 후기 정조대 시행된 무과시험의 내용과 방법을 검토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조대에 시행된 무과의 종류로는 식년시(式年試)는 8회, 증광시(增廣試)는 3회, 별시(別試)는 2회, 정시(廷試)는 14회, 알성시(謁聖試)는 7회, 중시(重試)는 3회, 도시(都試)는 2회 등 총 39회의 무과시험이 설행되었다.
    이 중에서 각 군영에서 실시한 시사(試射)는 수시로 병사들의 실력을 점검하는 차원에서 실시되었다. 정조대에 실시된 무과의 실기과목으로는 목전(木箭), 철전(鐵箭), 유엽전(柳葉箭), 편전(片箭), 기추(騎芻), 관혁(貫革), 기창(騎槍), 편추(鞭芻), 조총(鳥銃)이었으며, 이외에 이론과목으로 강서(講書) 등이 시행되었다. 강서(講書)의 경우 조(粗)이상의 성적을 받아야 했다.
    둘째, 조선후기 정조대 군영 조직은 도성을 방어하는 삼군문의 훈련도감, 어영청, 금위영이 있었고, 남한산성을 담당한 수어청, 북한산성을 방어하는 총융청 등이 있었다. 이외에 장용영은 정조의 친위군영으로 왕권강화를 위한 것이었다. 이외에 북쪽의 국경지역과 남쪽 왜구를 지키는 방위군으로 속오군이 있었다.
    정조대의 군영 중에서 중앙의 오군영을 제외한 친위군영인 장용영은 왕권강화를 위해 정조가 심혈을 기울인 조직이었다. 조선후기 오군영체제는 지속적으로 유지 되었으며, 지방군에 해당하는 속오군(束伍軍)의 활동은 숙종과 경종, 영조대에 점차 확대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조대에 이르러 완전하게 자리를 잡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study was able to see the results derived in PE historical perspective by analyzing methods of the military mugwa experiments of the late Joseon Dynasty. First, Jeongjo years, siknyeonsi eight times, jeunggwangsi three times, byeolsi two times, jangsi 14 times, alseongsi seven times, jungsi three times, dosi 2nd, full 39 meeting mugwa test preview of each military camp sisa( 試射) it was often conducted in terms of checking the skills of soldiers. As Jeongjo years conducted mugwa test information is as follows. Mocjeon(木箭), cheoljeon(铁箭), yuyeopjeon(柳葉箭), pyeonjeon(片箭), gichu(騎芻), gwanhyeok(貫革), gichang(騎槍), pyeonchu(鞭芻), jochong(鳥銃), the contents of the test subjects were Gangseo(講書). if the Gangseo(講書) must receive a grade more jo(粗). Second, the form of the late Joseon Dynasty chastity belt operating organization is as follows. First Hunlandogam defending the palace to the National Guard and also ayangchang There are two gumwaiyang and chongyungchang and also outside the National Guard to suachang Sogogun National Guard had to keep the waegu south of the border in the north. Jangyongyeung especially as a way to strengthen the military camp of the kingdom is one of unusual military camp organized in the late Joseon Jeongjo for. Late Chosun ogunyeung system has been continuously maintained, Sokohgun(束伍軍) activities for the jibanggun it was found to be enlarged gradually to Sukjong and kyeungjong, for Yeongjo. The place was completely catch came on for Jeongj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