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기 문화공작대의 의제와 성격 (The agenda and character of Munhwagongjakdae in the Liberation Period)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4.06
39P 미리보기
해방기 문화공작대의 의제와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41권 / 243 ~ 281페이지
    · 저자명 : 조은정

    초록

    이 글은 해방기 문화공작대 활동의 전체상을 실증적으로 복원하고 이것과 관계된 여러 가지 문제들-정치적 변동과 맞물린 좌익예술계의 활동방향, 참여 예술인들의 내면과 이후 행보, 대중화의 효과와 영향 등-에 대해 시론적으로 논의를 제출하였다. 조선문화단체총연맹은 남한에서 거의 대부분의 진보적 활동이 불법화되고, 상당수의 예술인들이 월북한 시점인 1947년 중반에 남한의 지방 곳곳에 문화공작대를 파견했다. 해방 이후 지속적으로 문화대중화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실천적 방침을 논의해왔던 문학가동맹을 중심으로 한 좌익문화진영은, 2차 미소공동위원회 재개를 통해 국면을 타개하기 위해 ‘공위축하종합예술제’를 개최했던 것이다.
    ‘인민을 위한 문화’ ‘문화를 인민에게’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총 4개대로 나뉜 예술인들은 지방민들을 위한 종합예술제를 기획했다. 이 행사는 연극, 영화, 음악, 만담, 시낭송, 이동전람회, 사진전 등 각 분야를 망라한 종합적 예술제였고, 동원된 예술인들만 해도 150여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1947년 6월 30일 제1대가 경상남도로 출발한 것을 시작으로 충청도, 강원도, 경상북도에 파견되어 특히 부산, 대구, 대전 등에서 상당한 관객을 유치하며 성공적인 공연을 펼쳤다. 그러나 계속되는 검열과 테러로 인해 예술제는 수난사로 요약될 만큼 난관에 봉착했고, 미소공위도 사실상 결렬됨으로써 문화공작대는 8월초까지 활동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화공작대 활동은 정치사회적 정세 속에서 좌익문화진영이 선택할 수 있었던 최후의 가장 적극적인 문화적 실천이었다는 점, 연극공연의 내용이 일제식민지배의 민족 수탈의 공동기억을 환기시키면서 민족감정에 호소한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예술활동에 대한 탄압이 가시화되고 지방 민중들과 직접 대면한 경험은 참여 문화인들의 전향과 월북 문제에 직간접적인 관련을 가지는데, 이는 차후 별도의 논문으로 보완하도록 하겠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mpirically restored general view of Munhwagongjakdae (the cultural underground activities group)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presented discussions about the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his matter such as the direction of activities of the left-wing artists circles interlinked with political changes, the inner side and move of participatory artists, and the effects and influence of popularization. Federation of Korean Cultural Organization dispatched Munhwagongjakdae to the regions all over South Korea in the mid-1947 when most of progressive activities were outlawed in South Korea and considerable number of artists crossed over into North Korea. The left-wing cultural camp with Korean Writers Alliance as its center, which continuous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popularization movement and discussed the ways of practice, held ‘Joint Celebration General Art Festival’ to break the deadlock through the resumption of the 2nd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The artists, which were divided into a total of 4 groups under the slogan of ‘Culture for the People’ and ‘Culture to the People,’ planned composite art festivals for regional people. These events were comprehensive art festivals that included play, movies, music, comic talk, poetry reading, mobile exhibitions, photo exhibitions, etc., and the number of artists who were mobilized was estimated to be more than 150. Beginning with the 1st group that started for Gyeongsangnam-do on June 30, 1947, the groups were dispatched to Chungcheong-do, Gangwon-do, Gyeongsangbuk-do, and particularly in such places as Busan, Daegu, and Daejeon, a considerable number of audiences were attracted with successful performances. However, due to continued censorships and terrors, the festivals were faced with difficulties so that they could be summarized as a history of ordeals, and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also virtually broke down, so they were able to be active only until early August.
    Such activities of Munhwagongjakdae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s that they were the last and the most active cultural practice that the left-wing cultural camp could choose amid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and that they appealed to national sentiments while reminding people of common memories of national exploitation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oppression on artistic activities became clear and the experiences of direct meeting with regional people we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participatory cultural people’s conversion and crossing over into North Korea, but this matter will be supplemented by a separate follow-up the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