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축의 대책문과 이민족 대책 (An Chuk's Answer at the Yuan Imperial Examination, and His suggestions for a Policy directive concerning the ‘Foreign trib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1.08
32P 미리보기
안축의 대책문과 이민족 대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38호 / 57 ~ 88페이지
    · 저자명 : 도현철

    초록

    안축(1287-1348)은 1324년 원 제과에 합격하였고, 『근재집』에는 그때의 답안지로 알려진 대책문이 실려있으나, 분석 결과 대책문은 원의 殿試 문제가 아닌 모의문제로 판단된다. 그렇기는 하지만 대책문은 당시 유교지식인들에게 광범위하게 읽혔을 뿐 아니라 유교의 이민족 대책과 유교 교화에 대한 모범 답안의 성격을 가진 것이라는 점에서 원과 고려 사상계의 동향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로서의 가치는 결코 반감되는 것은 아니다.
    대책문은 원의 이민족 대책과 유교 교화를 주제로 한 것으로, 토번이 『시경』․『춘추』․『예기』를 요구하던 동일한 상황에서, 漢나라는 책을 주지 않았고 唐나라는 주었는데, 그 대응 방법이 달랐던 이유를 설명하라는 것이었다.
    안축은 토번에서 요청한 유교 경전이 家道를 바르게 하고, 忠信禮義를 진작시키며 오랑캐를 교화시킬 것이라고 전제한다. 따라서, 한나라때 유교 경전을 이민족에게 주지 않은 것은 결국 경전의 大義를 알지 못하고 군사를 쓰는 전략과 교묘한 책동의 말을 만들어 선을 행하는 마음을 막는 처사였다고 비판하였다. 반면에 당나라의 경우는 책을 주어 忠信禮義를 들어 大議를 세우고 임금의 덕화가 모든 곳에 미치게 하였으니 도의 근본을 안다고 평가하였다. 吐蕃이 선을 쫓을 마음이 있다면 경전을 보고 중국을 사모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갖게 될 것이고, 혹 다른 마음이 있다면, 경전에서 오랑캐를 무력으로 쳐서 응징한다는 말을 보고 복종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 글은 五經을 통하여 유교의 도를 확립하고 풍속을 변화시켜 세상을 교화시키는 교화론을 제시하고 있다. 교화를 실현하는 방법은 오랑캐의 마음을 움직여 감화시키는 것과 인의의 군대를 사용하여 이민족을 무력으로 굴복시키는 방법이 있다.
    고려후기에는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유학 본래의 문제의식을 궁구하게 되고, 유교 경전인 五經의 의미에 근거하여 이민족 교화를 주장하게 되는데, 안축의 대책문은 바로 그러한 사상사적 맥락에서 유교 경전과 이민족 대책에 대한 상관관계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An Chuk(1282-1348) was a Goryeo scholar who successfully passed the Yuan Imperial state examination in 1324. The answer he submitted to the examination board contained valuable information, as we can see what kind of thoughts the intellectuals of both Goryeo and Yuan actually had at the time. As we all know, the Yuan empire fully embraced Confucianism, and made it a general policy to pursue traditional Chinese ways, in all aspects of its governance. In reflection of such policy stance, the official question that was announced to the applicants of the 1324's Jeonshi/殿試 examination asked the students to bring forward their opinions regarding what kind of direction the imperial government's policy should take in the future in terms of foreign tribes, and regarding the issue of 'enlightening' them with pure Confucian teachings. The basic setting of the question was this: "Tibet requested that China provide them with 『Shi'gyeong(The Book of Odes)』․『Chun'chu(The Book of History)』 and 『Ye'gi(The Book of Ritual protocols)』, but the Han/漢 dynasty denied such request, while Dang/唐 granted it." The students were asked, why the Chinese dynasties responded very differently.
    Facing such question in an imperial examination, An Chuk first defined the 'Confucian classics' that Tibet had requested as 'important material,' which could correct and rectify the formerly loosened rules inside individual houses, which could strengthen the people's investment in concepts like loyalty, filial piety, adherence to protocols and dedication to righteousness, and which could greatly promote their faith in them so that they could eventually enlighten the the 'barbarians.' Regarding the reasons behind Han dynasty's denial of such request, An Chuk defined it as a clear error which only showed that the Han leadership, blatantly unaware of the essence of Confucian teaching, obstructed the barbarians' intentions to pursue goodness out of a petty intention based upon military tactics and elaborate words of instigation. On the other hand, he praised Dang for remaining true to the 'Way of the World,' as they gave the requested books to the Tibetans and allowed the enlightenment of the emperor to flow into those regions. An Chuk argued that if Tibet wanted to pursue goodness they would have felt extremely grateful and respectful to China for the provision of those books, and even if they initially wanted to do otherwise, they would have been persuaded not to do so anyway, after reading the contents of the books which dictated that barbarians be defeated.
    The intention inside his answer is firmly based upon an argument of enlightenment, which suggests that the ways of Confucianism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world's culture and practices should be bettered, by consulting the teachings of the Five Classics(五經), with such task conducted by either a provision of cultural inspiration or a military force with a righteous banner.
    In the latter half of the Goryeo dynasty, people who embraced Neo-Confucianism came to learn the original questions and answers of Confucianism, and they usually argued that foreign tribes should be enlightened based upon the Five Classics. An Chuk's voice was one of them, and his answer shows us how the classic Confucian texts were related with the foreign tribe poli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