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3인칭대명사 ‘그’에 관한 소고 (An Research on the 3rd Person Pronoun ‘k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5.12
25P 미리보기
3인칭대명사 ‘그’에 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71호 / 104 ~ 128페이지
    · 저자명 : 박재희

    초록

    본고에서는 현대 국어에서 3인칭대명사로 쓰이는 ‘그’의 기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20세기 초에 김동인을 비롯한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에 ‘그’를 3인칭대명사로 쓰게 되면서 ‘그’가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설명하여 왔다. 그러나 인칭대명사가 문법 범주에 가깝다는 점과 폐쇄류(closed-class)에 속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그’가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된 것이 일개인의 노력에 의한 결과가 아니라 20세기 초 언중들의 필요와 동의에 따라 선택되어진 결과로 보았다. 본고에서는 지시대명사 ‘이, 그, 뎌(현대 국어 ‘저’)’ 중에서 ‘그’가 20세기 들어 인칭대명사로 선택된 까닭을 (i)한국어에서 대명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어휘들의 특성과 (ii)개화기에 나타난 서사체 서술 방식의 변화를 들어 설명하였다. 즉 한국어에서 대명사는 화맥적 상황(화자와 청자가 전제된 상황)과 문맥적 상황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국문 서사체 서술 방식이 화자와 청자를 전제로 한 ‘-라’ 종결어미 문장에서 사건 서술 중심이 ‘-다’ 종결어미 문장으로 변환되었고, 이에 따라 화자와 청자가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3인칭 대상을 지칭할 수 있는 대명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호응하여 15세기 이래로 화자와 청자를 중심으로 한 서사체 서술 방식에서 3인칭대명사로 쓰여 왔던 ‘이, 그, 저’ 중에서 가장 중립적인 성격을 지닌 ‘그’가 선택되어 언중들의 동의를 얻어 현대 국어에서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origin of ‘ku’ as a 3rd person pronoun in the comtemporary Korean. In the previous studies, ‘ku’ came to use a 3rd person pronoun in Korean when writ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including Dong-In Kim started with using ‘ku’ as a 3rd perosn pronoun in their writings. Unlike previous studies, however, this paper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pronouns which are included in closed-classes and close to a grammatical category rather than lexical categori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insisted that the reason that ‘ku’ came to use a 3rd person pronoun in Korean was not because the efforts of certain writers but because commonly used by normal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particular, ‘ku’ was selected a 3rd person pronoun in three demonstrative pronouns ‘i, ku, tye( ‘je’ in the modern Korean). The proposal of this paper is based on two reasons. First reason i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nouns and second reason is the change of narrative methods in the early 20 century from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speaker-hearer oriented situation) to the context- focused situation. In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the demonstratives ‘i, ku, tye (je in the comtemporary Korean)’ or ‘a unified forms with demonstratives and nouns’ are commonly used as pronouns but in the context-focused situation. these forms cannot be used pronouns. The narrative style in Korean was dramatically chang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instance, the ending maker ‘-ra’ which is commonly used at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were less us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Instead, the ending marker ‘-da’ which is commonly used at the context-focused situation were more used from the same times. The change of writing style caused people to find a new 3rd person pronominal word. Thus, among ‘i, ku, tye(je)’, this paper proposed that Korean people selected ‘ku’ as a new 3rd person pronoun because it contained a neutral mea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