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공영방송 선거보도 사운드바이트에 등장한 여성취재원 분석: 16대, 21대 국회의원 선거 비교 분석 (An Analysis of Women in the Sound Bite of Public Broadcasting Election Repor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16th and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2.12
31P 미리보기
한국 공영방송 선거보도 사운드바이트에 등장한 여성취재원 분석: 16대, 21대 국회의원 선거 비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37권 / 4호 / 161 ~ 191페이지
    · 저자명 : 오해정

    초록

    본 연구는 여성 최다 국회의원이 당선된 2020년 제 21대 국회의원 선거보도를 2000년도 제 16대 국회의원 선거보도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여성 정치인이 증가한 상황이 미디어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분석을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공영방송인 KBS의 메인 뉴스프로그램인 <뉴스9>의 리포트 120개 리포트를 표집해 441개 사운드바이트를 내용분석했다. 분석 결과 16대 총선에서 4.8%였던 공영방송 선거보도 사운드바이트에서의 여성취재원 비율은 21대 총선에서 9.5%로 증가해 16대 총선보다 21대 총선 선거보도 사운드바이트에 등장하는 여성취재원 비율이 더 높아졌다고 볼 수 있었다. 선거보도에 어떠한 집단 소속 여성들이 등장해 어떠한 발언을 했는지 분석한 결과 16대 총선 뉴스에 여성 국회의원 후보가 등장한 경우는 2건에 불과했고 여성은 의정 활동의 주체가 아닌 유권자로 정치뉴스에 등장한 것으로 분석됐다. 여성 최다 국회의원인 59명이 당선된 21대 총선에서도 선거보도에 국회/정당 소속으로 보도된 여성은 12건으로 절반에 그쳤으며 나머지 12건은 유권자 등 시민으로 뉴스에 나왔다. 여성 전문가는 선거보도에 단 한 명도 등장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선거보도에서의 여성취재원 인용이 기자의 성별과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했고 분석 결과 2000년에는 선거 뉴스를 보도한 여기자가 전혀 없었지만 2020년에는 36건의 뉴스를 여기자가 보도했고 여기자가 여성취재원을 더 많이 인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자 성별과 기사에서의 여성취재원 인용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과거 금녀의 영역으로 여겨졌고 아직도 여성 진출에 제약이 큰 정치분야, 그 중에서도 시민들이 가장 관심을 갖고 보는 선거보도에서 여성취재원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알아봤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분석 기간과 매체를 늘려 연구를 진행하면 더 의미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how female sources were represented in the election reports in the 16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news when the political candidates’ gender quota system was first introduced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 news. For analysis, 120 reports of <News 9>, the main news program of KBS, a representative public broadcaster in Korea, were sampled and 441 sound bit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roportion of female sources in the public broadcasting election news increased from 4.8% in the 16th election to 9.5% in the 21st election. Next, to find out the representation pattern of female sources, the group belonging to the female sour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mark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16th election news, only two female election candidates appeared on news. In the 21st general election, where 59 female lawmakers were elected, only half of the women were reported as a politician in election reports, and the other half was on the news as citizens. In the 21st election reports, as well as the 16th election reports, not a single female expert appeared in the election report.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citation of female sources in election reports was related to the gender of reporters,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 female reporters who reported election news in the 16th election, but 36 election news was reported by female reporters in the 21st election, and the use of female sources in articles was related. This study sheds light on figuring out how female sources were represented in the political field, which has a high hurdle for entering women, and it is suggested that more meaningful research results can be obtained by increasing the analysis period in the future. Further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디어, 젠더 &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