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변천에 관한 고찰 -제11대에서 제18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Zum geschichtlichen Verlauf des Parlamentswahlsystem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0.08
22P 미리보기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변천에 관한 고찰 -제11대에서 제18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공법연구 / 50권 / 415 ~ 436페이지
    · 저자명 : 김도협

    초록

    기존의 국회의원선거(國會議員選擧) 및 그에 연맥한 선거제도(選擧制度)가 어떻게 규정되고 실현되어 왔는지, 그리고 어떠한 변천과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은 궁극적으로 향후의 더욱 발전적인 선거제도의 구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전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제하에서 본 고찰은 제11대 국회의원선거부터 제18대 국회의원선거, 즉 신군부의 등장으로 형성된 제5공화국과 제6공화국 및 이후의 문민정부라고 통칭할 수 있는 김영삼정부, 김대중정부, 노무현정부 및 현 이명박정부에 이르기까지의 총 8회의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우리의 선거관련법제는 지난 1994년에 기존의 각기 개별적인 체제로 있어온 대통령선거법, 국회의원선거법, 지방의회의원선거법 및 지방자치단체장선거법에 대한 단일법전화와 그에 이은 지난 2004년의 대폭적인 공직선거법의 개정을 통해 변화된 현실의 반영에 노력함으로서 선거의 효율성과 합리성 및 이를 통한 민주적정당성을 제고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으로, 지난 제6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최초로 전국구(全國區)를 도입한 이래 그동안 수차례의 선거법개정을 통해 적잖은 변화를 해왔다 할 것으로서, 소선거구 다수대표제와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를 결합한 1인 2표 병립제(竝立制)의 도입ㆍ실시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즉 그 동안 지역구 국회의원총선거에서 얻은 비율에 따라 전국구(비례대표) 국회의원의석을 배분해 오던 것을 제17대 국회의원선거에서는 원칙적으로 투표방식에 있어서 비례대표선출을 위한 정당명부에 대한 투표를 추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득표비율에 따라 비례대표 국회의원의석을 배분하게 되어 진정한 의미에서의 비례대표제(比例代表制)의 실현에 한발 더 다가섰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동안의 수차례의 선거법개정을 통해 무엇보다도 여성후보자에 대한 의회진출의 기회를 과거에 비해 확대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여권신장(女權伸張)에 있어서 적잖은 파급효과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선거를 통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권한의 확대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제5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선거연령의 ‘20세 이상으로의 하향 조정’에 이어 지난 2005년 선거법 개정을 통해 선거권을 ‘19세 이상’ 으로 다시 하향 조정하였다. 이는 변화된 국민의 정치의식을 합리적으로 반영하였다 할 것으로서, 결과적으로 국민의 참정권 확장에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Die genaue Betrachtung dessen, wie die Parlamentswahlordnung und die damit zusammenhaengenden Wahlen im Laufe der Zeit bestimmt und gehandhabt wurde, und wie sie gewandelt hat und welche Eigenschaften sie heute hat, kann als eine wichtige Vorbedingung fuer den Aufbau des kuenftigen verbesserten Wahlsystems gesehen werden.
    Aus diesem Grunde behandelt dieser Aufsatz die inzwischen 18mal stattgefundenen Parlamentswahlen und die damals geltenden gesetzlichen Ordnungen, wobei der vorliegende Aufsatz von der 11. bis zur 18. Wahl behandelte.
    Es wurde daraus sichtbar, dass trotz der politischen Turbulenzen und Irrungen und Wirrungen aus den sehr wechselhaften Gesetzgebungen die wiederholten Wahlbeteiligungen der Buerger eine bestimmte Erhoehung des Lerneffektes in Sachen Wahl mit sich brachten. Durch dieses Lernen wurde das politische Verstaendnisniveau des Buerger erhoeht, und schliesslich konnte die Verbesserug der Wahlgesetze und des Wahlsystems und die dadurch gewonnene allmaehliche Legitimitaetserhoehung der Wahlen erzielt werd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