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남 동부지역을 둘러싼 大伽耶와 百濟 – 任那四縣과 己汶, 帶沙를 중심으로 – (A study of movement between Daegaya and Baekge along with eastern region of Honam)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9.09
24P 미리보기
호남 동부지역을 둘러싼 大伽耶와 百濟 – 任那四縣과 己汶, 帶沙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65권 / 65호 / 107 ~ 130페이지
    · 저자명 : 박천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日本書紀』繼體기에 보이는 任那四縣과 己汶, 帶沙지역을 둘러싼 대가야와 백제의 공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任那四縣과 己汶, 帶沙지역의 위치와 성격에 대해 호남 동부지역에 속하는 여수, 순천, 광양, 하동, 남원지역으로 비정하고, 이러한 지역이 대가야권역임을 확인하였다. 종래 대가야의 발전은 야로분지의 철산 개발에 의한 것으로만 파악되어 왔으나, 본고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한 섬진강로와 任那四縣의 확보를 통한 남해안 제해권의 장악이야말로 내륙에 위치한 대가야가 가야의 중심국으로 군림하게 된 배경으로 보았다. 즉, 이 시기 대가야는 남해안의 해상교통을 장악함으로써 가야지역의 중심국으로 지위를 확보하고, 對일본열도 교역에서 금관가야뿐만 아니라 신라와의 경쟁에서도 우위에 선 것이다.
    6세기 전엽 영산강상류역의 광주, 담양지역과 해남반도에 前方後圓墳이 출현한다. 이 시기 백제가 任那四縣, 己汶, 帶沙지역을 공략하는 것에서 백제의 對大伽耶전략과 관련하여 이 지역에 전방후원분이 출현하는 것으로 보았다.
    호남지역의 전방후원분과 동시에 任那四縣, 帶沙와 인접한 가야지역에서 왜계고분이 출현한다. 영산강유역의 전방후원분과 가야지역의 왜계고분은 任那四縣과 己汶, 帶沙지역을 중앙에 두고 분산 배치되어 있고 6세기 전엽에 국한된 출현시기와 각각 백제와 대가야산 위신재를 보유한 것에서, 이는 任那四縣과 己汶, 帶沙지역을
    둘러싼 백제와 대가야의 공방전에 北部九州지역을 비롯한 出自가 다른 倭人이 백제와 대가야측에 각각 傭兵으로 동원된 것으로 본다.
    6세기 전반 백제가 임나사현과 대사진을 점령함으로써 대가야는 남해안의 제해권과 교역항을 상실한다. 이에 따라 대가야와 일본열도의 교역이 퇴조하고, 대신 백제산 문물이 본격적으로 일본열도에 이입된다. 이는 대가야의 쇠퇴와 멸망의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placed Imnasahyeon(任那四縣), Gimun(己汶), and Daesa(帶沙), which have been stated by Keitai(繼體) in Nihonshoki(日本書紀) to Yeosu, Suncheon, Gwangyang, Hadongm, Namwon, located in eastern region of Honam. And also proved that they were sphere of Daegaya.
    In the past, the development of Daegaya was unterstood to be based on the cultivation of iron production primarily in the Yaro. This study assumed that establishment of dominance over southern sea of Korean peninsular by securing Seomjin river route and Imnasahyeon(任那四縣) also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These were main background of superiority of Daegaya in trade with japanese archipelago and in relation with other Gaya countries.
    Keyhole– shaped tombs appeared by the time of the early– 6th century in Gwangju, Damyang, upper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and Haenam peninsular as consequence of strategy, owing to invasion of Baekje to Imnasahyeon(任那四縣), Gimun(己汶), and Daesa(帶沙). At the same time Wa
    style tombs were constructed in Gaya region nearby Imnasahyeon(任那四縣), Daesa(帶沙). People who were buried in those tombs of both region were japanese mercenary from northern kyushu and the other region. This assumption could be demonstrated by the several archaeological facts such as distribution aspects of tombs in upper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and Gaya region, exclusive appearance time of each tomb, and burial of prestige goods of Baekje and Daegaya.
    Baekje had occupied Imnasahyeon(任那四縣), Daesajin(帶沙津) by the first half of 6th century. Thus, Daegaya was deprived of those region as well as control power for external trade port. According to these process, Baekje had gained superior position to trade with japanese archipelago and Daegaya had dwindled a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상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