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仁祖代 經筵의 운영과 성격 (Study on Royal Lecture During King Injo Period (1623~1649))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9.09
48P 미리보기
仁祖代 經筵의 운영과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90호 / 97 ~ 144페이지
    · 저자명 : 이경동

    초록

    인조대 경연은 반정의 정당성 강화 목적에서 시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경연은 朝會, 輪對, 引見 등에 비하여 가장 일반적인 국정논의를 위한 현장으로 기능하였다. 경연의 제도적 운영에 관해서는 경연의 종류와 빈도, 참석자의 구성, 논의 구조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인조대 경연의 실상은 대체로 조선전기의 경연 운영을 준행하면서 시행과정에서 제도적 유연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山林職의 검토와 같이 조선전기와는 다른 측면에서 경연을 운영하려고 하는 시도들도 확인된다. 인조대 경연은 군신간 引接을 통한 국정운영의 주된 현장으로 기능하였으므로 국정과 관련된 논의들도 경연을 통해 집중적으로 다루어졌다. 대체적으로 진강 중에는 홍문관원을 중심으로 운영되었고, 진강이후에는 영사․지사나 특진관을 중심으로 국정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경연 내의 국정논의 과정에서 논의의 내용은 논의자의 실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입시한 관원들의 자유로운 토론이 진행되었으므로, 보다 다양한 시각의 논의들도 발생하고 있었다. 경연에서 다루어진 논의들은 朝報 등을 통해 조정 내외로 확산되면서 국정운영의 주요한 현장으로 기능하였다. 병자호란 이후 재개된 경연은 병자호란 이전과 마찬가지로 국정논의의 장으로 기능하였음에도 1639년(인조 17) 이후 인조의 건강 악화로 인해 중지되었다. 경연의 중지는 표면적으로 인조의 건강악화가 이유였지만, 국정운영상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하나는 척화론으로 상징되는 삼사를 중심으로 한 정치세력을 국정논의 내에서 배제하려는 데에 있었고, 다른 하나는 經典 진강과 국정논의를 병행해야 하는 경연이 가졌던 제도적 한계 때문이었다. 경연의 중지와 동시에 비국인견이 정례화되면서, 이후 국정운영을 위한 인접의 방식도 월3회 비국인견으로 제한되었다.

    영어초록

    Gyengyeon (經筵; Royal Lecture) was where the king listened to his eminent government officials’ lectures on Neo-Confucian classics and held discussions with them in Joseon Dynasty. During the reign of Injo, the Lecture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revitalizing political system suspended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the process, Royal Lecture did not only put an emphasis on the legitimacy of the Coup of 1623 (仁祖反正), but also functioned as a sphere of discussing the general affairs of the state, compared to the other court discussing types as follows: Johoe (朝會; Formal morning audience with rituals), Yundae (輪對; Rotational audience) and Ingyeon (引見; Occasional audience on particular subject) etc.
    In this article, it is stated on the operation system of the Royal Lecture, centered with its types, frequency, attendance, and structure of discussion. The actual operation of the Lecture during king Injo period seems that it wa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its model in the former part of Joseon period, while having flexibility of the system in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Royal Lecture during the reign of Injo functioned as the main field of the state administration through audience between the king and his ministers, thus discussions on state affairs were also handled through the Lecture intensively. General tendency shows that the Lecture was led by lecturers during Jingang (進講; Lecture before the King), and after lecture, state affairs were discussed among higher officials such as State Prime Minister or Ministers. During the process of state affair discussion in the Lecture, the content of the discussion was closely related to actual position in office of the discussant. If the discussion was not related with actual positions in office, there were free debates between officials who were granted audience by their positions in the Lecture, generating more diverse views on issues.
    After the Manchurian Invasion of 1636, the Royal Lecture was resumed to overcome the political situation. However, it was suspended after 1639 because of deterioration of king’s health, even though it was still functioning as the sphere of state affair discussion. Other than deteriorated health condition of the king, the suspension of the Lecture was associated with the changes of state governance after the War. On the one hand, it was to exclude political force symbolized as Cheokhwaron (斥和論; Insistence on Rejecting Negotiation) centered with royal lecturers and remonstrating officials. On the other hand, it was because of systemic limitation of discussion function of the Lecture. With the Lecture suspended, Biguk-ingyeon (備局引見; Court Audience with Pibyŏnsa, the Border Defense Council) was regularized with frequency of three times a month, and the way of royal audience for the state management was limited to Biguk-ingyeon hereaf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