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공민왕 대의 군사화 (The Militarization of Goryeo Dynasty in King Gongmin’s Reig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4.06
36P 미리보기
고려 공민왕 대의 군사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42호 / 65 ~ 100페이지
    · 저자명 : 정동훈

    초록

    이 글에서는 고려 말, 공민왕 대에 거듭된 전쟁과 풀리지 않은 안보 위기 속에서 고려가 매우 빠른 속도로 군사화되었음을 시간 순으로 살펴보았다. 군사화라는 용어를 국가와 사회의 인적, 물적 역량을 군사력에 집중 투입하고, 그를 지속, 유지하기 위해 체제를 조정해가는 과정, 현상이라고 정의한다면 고려 말은 군사화의 전형적인 시기였다.
    공민왕의 즉위 당시에는 “군사가 없던” 상황에서 공민왕 11년(1362)의 개경 수복 작전에는 일시적이나마 20만의 병력을 동원하였으며, 재위 막판에는 수만 명의 병력을 연달아 동원하여 압록강 이북과 제주에서 작전을 펼칠 정도에 이르렀다. 이 과정은 즉위 초기에는 중앙의 정변에 대응하기 위해 개경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어서 초기 10년, 1350년대에는 몽골제국과의 긴장, 그리고 홍건적의 침입에 대응하면서 서북면과 동북면의 군비가 집중적으로 강화되었다. 다음 10년, 1360년대에는 2차 침입으로 국왕이 안동으로 피난한 이후, 그리고 왜구의 침략이 본격화된 이후로 한반도 남부 지방에 이르기까지 동원 가능한 인적 자원을 총동원하여 외침에 대응하는 양상으로 확산되었다. 고려 말의 군사화는 우왕 대(1374~1388)까지 끊임없이 지속되었다.
    군비 강화가 중앙 정치에 끼친 영향은 막대했다. 전투가 계속되고, 軍功을 세운 이들이 출세길을 달리면서 武將들이 권력을 쥐게 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공민왕과 우왕 모두 재위 기간 중 가장 철저하게 조직된 군사를 계획적으로 멀리 출병시킨 시점에서 정변의 희생양이 되어 왕위를 빼앗기게 되었다는 점 역시 매우 시사적이다. 결과적으로 고려 왕조의 막을 내리고 혁명의 주인공이 된 이 역시 30여 년 동안 가장 빛나는 무공을 세우며 武名을 날린 이성계가 되었던 점 역시 이러한 맥락 속에서 자연스럽다.
    고려 말의 사회경제적 변화 역시 군사화 경향과 떼려야 뗄 수 없다. 조선 건국을 주도했던 이들이 고려 말기의 폐해로 가장 적극적으로 거론했던 이른바 私田 문제 역시 각지로 파견되었던 장수들이 가장 큰 주범으로 지목되었다. 이들이 전국에 걸쳐 광대한 사전을 집적한 것은 그들이 몰고 다닌 무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hronologically examines the rapid militarization of Goryeo amidst repeated wars and unresolved security crises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min in the late Goryeo period. As a result, the country went from “no army” at the time of King Gongmin's accession to the throne, to a temporary mobilization of 200,000 troops to restore Gaekyong in King Gongmin's 11th year (1362), and to a continuous mobilization of tens of thousands of troops in the final years of his reign to operate in the north of the Apnok River and Jeju Island. This process was characterized by a sequential pattern of militarization, focusing on Gaekyong in the early years of his reign in response to the central political situation, and in the following decade in response to tensions with the Mongol Empire and the Red Turban’s invasion, in the northwest and northeast, after King Gongmin fled to Andong,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began in earnest,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militarization of the late Goryeo period was repeated throughout the reign of King Woo (1374-1388), when relations with Ming rapidly deteriorated, leading to military conflict, and the entire Korean peninsula was plagued by Japanese hordes. As a result, in the last year of King Woo's reign (1388), he organized an army of up to 50,000 troops and advanced as far as Wihwado to conquer Yodong. This was exactly twice the number of troops that landed on Jeju in the last year of King Gongmin.
    The impact of the military buildup on central politics was enormous. As the battles continued and the men who had established military success rose to prominence, it is no wonder that warlords rose to power. It is also very significant that both King Gongmin and King Wu fell victim to political changes and lost their thrones at the point in their reigns when they had deliberately sent their most thoroughly organized armies far away. It is also natural in this context that the man who ended the Goryeo dynasty and became the protagonist of the revolution would also become Lee Sung-gye, the most prominent martial artist of the next three decades.
    The socioeconomic changes in Goryeo are also inseparable from the militarization trend. The so-called Sajeon problem, which the founders of the Joseon Dynasty most actively cited as a problem of the late Goryeo Dynasty, was also blamed on the generals who were dispatched to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The vast collection of dictionaries across the country was only possible because of the military force they traveled with. The local elites, or “閑良,” who are said to have supported and sustained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were also the ones who confirmed their existence and gained social influence amidst the trend toward militar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전